전체 글 (86) 썸네일형 리스트형 4장. 블록 구조 (벽체의 구조) 1. 개 설 (1) 벽체의 높이 아래 표를 참고로 3종의 구조를 예로 참고한다. (2) 벽체의 길이 벽체의 길이는 벽의 끝모서리에서 끝모서리 간막이벽 부축벽 붙임기둥까지의 중심간의 거리를 말한다. 이것을 지지점거리라고도 한다. 보강블록조에 있어서는 벽의 길이를 따로 떨어져서 여러 군데 있는 것보다 집중된 것이 유리하다. 또한 부분적 벽걸이의 합계는 전체 벽길이의 1/2 이상으로 하고 조적조의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m² 이하고 한다. 보강블록조 내력벽의 한 방향의 길이의 합계는 그 층의 바닥면적 1m²에 대하여 0.15m 이상이 되도록 한다. 각층 벽높이 H는 4m 이하 벽길이는 10m 이하로 한다. 10m 이상 될 때에는 부축벽 붙임벽 또는 붙임기둥 등을 쌓는다. 부축벽 붙임벽 등의 .. 4장. 블록 구조 (블록 쌓기) 1. 개 설 블록은 반입 직후 불합격품을 선별하여 공사장 외로 반출한다. 블록 쌓기에 쓰이는 모르타르의 용적배합비는 보통 1:3으로 하고 1:5 이하로는 되지 않도록 한다. 모르타르의 강도는 블록강도의 1.3배 시공묽기는 플로우 테스트 140~150이 이상적이고 물의 중량은 시멘트 중량의 60~70% 모래의 지름은 1.2mm 정도가 좋다 모르타르에 석회를 약간 혼입하면 수분 유지가 되고 끈기가 있게 된다. 블록의 모르타르 접합부만은 쌓기 전에 적당히 물을 주어 습윤케 하는 것이 좋다. 블록은 지나치게 물로 축이면 팽창 수축으로 균열이 생기게 되면 축이지 아니하면 모르타르의 경화에 지장이 있다. 블록구조 건물의 각 부분의 치수는 기본블록의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줄눈은 가로 세로 6~12mm 정도로 하되 보.. 피터 린치의 투자 이야기..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미국의 가장 성공한 펀드매니저인 피터 린치의 저서인 "피터 린치의 투자 이야기"입니다. 여러 많은 투자분야가 있지만 부동산과 더불어 투자분야의 양대 산맥인 주식이 있습니다. 저 또한 요즘 본업이외에 다른 수입을 위해 주식을 공부하려고 하는 주린이입니다. 유튜브 인터넷 검색을 통해 찾게 된 이 책은 주식을 처음 접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주식이 무엇인지에 대해 쉽게 이야기하고 더불어 자본주의 역사 주식의 시작 배경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저술해놓은 책입니다. 저 또한 매우 재미있고 흥미롭게 읽어서 이렇게 리뷰를 올려봅니다. 1장 자본주의 역사 아메리칸 대륙 발견을 시작점으로 해서 당시의 경제 상황 영국청교도들의 개척 역사를 통해 여러 투자자들이 어떻게 생겨나고 최초의 주식회사인 동인도 회.. 4장. 블록 구조 (개 론) 1. 블록 구조의 분류 블록 구조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블록을 만들어 벽돌과 같은 방법으로 쌓아 올려 벽체를 구성하는 조적식 구조법의 하나이다. 블록 구조도 오래전부터 간단한 구조물에 이용되었지만 근래에 와서는 철근콘크리트로 보강하여 주택 저장고 공장 기타 벽체가 많은 건물에 널리 쓰이게 되었다. 구미 각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되어 조직적인 이론과 실제 실험 검토도 완성되어 상당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블록건물의 특징은 건물의 대량생산 경량 불연 구조로서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단축 경비절약 등의 장점이 있고 목재의 절약에도 큰 성과가 있는 것이다. 시멘트 블록을 이용한 구조에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구조 및 시공방법은 거의 동일하고 다만 블록의 처리 보강법이 다를 뿐이다. (1) .. part. 24 벽돌구조 (바닥틀 지붕틀 걸기, 벽돌벽 두께) 바닥틀 지붕틀 걸기 1. 개요 벽돌조 건물은 먼저 벽체를 쌓고 여기에 목조 마루 또는 지붕틀을 올려놓게 된다. 또 벽돌벽체를 보강하는 철근콘크리트바닥판으로 할 때도 있다. 목조 바닥틀 지붕틀의 구조법은 일반나무구조와 같으나, 바닥틀 지붕틀 등은 창문 등의 문꼴위를 피하고 튼튼한 벽 위에 상하가 수직선상에 오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2. 1층마루 2층마루 1층마루에서는 멍에 장선 등을 놓기 위하여 벽돌벽 내쌓기를 하고 장선받이를 댄다. 2층 마루에서는 보를 걸기 위하여 벽 위에 보받침 등을 놓고 그 위에 올려놓는다. 보주위는 통기와 진동에 대한 여유를 두어 다소 빈틈을 남겨둘 필요가 있고 위치 고정으로 보에 띠쇠를 대어 한 끝을 구부려 보받이돌에 파 넣어 간사이 방향의 이동을 방지한다. 3. 지붕틀 벽체.. 3장. 벽돌 구조 (아치) 1. 아치 창문 등의 문꼴 위에는 상부에서 오는 짐을 받게 하기 위하여 아치를 틀거나 인방보를 걸고 그 위에 벽돌벽을 쌓는다. 아치의 모양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흔히 쓰이는 것은 평아치, 반원아치, 결원아치 등이다. 또 구조상 용도상 빗아치, 짐받이아치, 거꾸로아치 등이 있다. 아치의 이론은 매우 복잡하지만 간단히 말하면 상부에서 오는 수직 압력이 아치의 축선에 따라 좌우로 나누어져 밑으로 직압력만으로 전달되게 한 것이고 부재의 하부에 인장력이 생기지 않게 구조한 것이다. 따라서 벽돌은 이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줄눈을 맞추어 쌓아야 하고, 주요한 줄눈의 방향은 모두 그 중심에 모이게 한다. 2. 아치틀기 아치벽돌을 특별히 주문 제작하여 쓴 것을 본아치라 하고 보통 벽돌을 쐐기 모양으로 다듬어 쓴 것을.. 3장. 벽돌 구조 (벽돌쌓기법) 2. 벽돌기둥 쌓기 벽돌로 독립기둥 붙임기둥 부축벽 또는 창 사이의 좁은 벽 등을 쌓을 때에는 벽돌나누기는 물론, 모르타르 배합도 좋게 하고 수직으로 정확히 쌓아 올려야 한다. 붙임기둥 부축벽은 길고 높은 벽돌벽체를 보강하기 위하여 벽돌벽에 붙여 만든기둥 또는 벽으로서, 구조성으로 볼 때에는 같으나 의장상으로 기둥모양으로 보이는 것을 붙임기둥 벽처럼 보이는 것을 부축벽이라 한다. 독립기둥 붙임기둥 부축벽은 지붕틀 층보, 기타 집중하중을 받게 되므로 그 두께는 1.5B 이상으로 하고 횡력 또는 충격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것은 충분히 대항할 수 있도록 보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독립기둥은 보통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조로 하고 가장자리를 벽돌로 쌓는다. 3. 기초쌓기와 내쌓기 (1) 기초 쌓기 벽돌벽체의 .. 3장. 벽돌 구조 (벽돌마름질 및 벽돌나누기, 벽돌쌓기법) 1. 벽돌마름질 벽돌은 온장을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깨뜨려 쓰기도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을 벽돌마름질이라 하고 그 종류는 그림과 같다. 이오토막과 반반절은 거의 같은 크기가 된다. 이오 칠오는 0.25토막 0.75토막에서 나온 말이다. 2. 줄눈 벽돌과 벽돌 사이의 모르타르 부분을 줄눈이라 하며, 수평의 것을 가로줄눈 수직의 것을 세로줄눈이라 한다. 벽돌벽에 실린 하중이 골고루 너리 퍼져 전달되게 하려면 세로줄눈의 아래 윙가 중요하다. 이와 같이 세로줄눈의 아래 위가 막힌 것을 막힌줄눈이라 하고 통한 것은 통줄눈이라고 한다. 통줄눈으로 된 부분은 약하게 되고 위에서 오는 하중을 평균하게 밑으로 전달시킬수가 없을뿐더러 지중에서 습기가 스며들기 쉬우므로 되도록 통줄눈이 생기지 않도록 쌓아야 한..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