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학개론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벽체)

반응형

1. 개  요

철근콘크리트구조 벽체는 지하실벽, 계단실, 승강기실 등의 건물 코어 등의 주변벽에 주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지하실벽은 상하부에서는 바닥보에 연결되고, 기둥이 있을 때는 사방이 고정지지된다. 지하실벽의 하중은 축방향력과 휨모멘트, 그리고 토암에 의한 휨을 받는다.

철근콘크리트, 벽기둥

벽체에서는 내력벽과 비내력벽이 있고, 간막이벽 또는 장막벽 또는 커튼월 등은 보통 비내력벽이다. 기둥을 정방향 단면으로 하지 않고 벽처럼 얇고, 너비가 큰 단면으로 할 때가 있다. 이 기둥을 벽기둥이라 하며 이것은 기둥이 벽면에서 내민 것을 피하기 위하여 쓰일 때가 있다. 이 벽체는 라멘체가 되는 것이다. 이것을 벽식구조 또는 벽식철근콘크리트구조라 한다. 벽식구조는 보 • 기둥 등을 주체로 하는 뻐대구조에 대하여 벽체나 바닥판 등의 평면적인 구조체로서 구성하는 구조방식을 말한다.

벽철근의 정착

 

2. 벽두께

철근콘크리트조 벽두께는 주택 등에서는 15cm, 중요건축에서는 15 ~ 20cm, 지하실벽, 방화벽 또는 대규모 건축에서는 20 ~ 25cm로 계산한다. 벽체는 연속주열로 계산되므로 주로 세로철근이 주근이 되고, 가로철근이 보조부근이 된다. 철근지름은 Ø9, D10 이상으로 하고, 겹철근벽은 세로근을 안팎에 정렬되게 하거나 엇가게 한다. 상하바닥보 또는 좌우기둥에서 벽철근의 정착길이는 주근 내부에서 2.5d 이상 깊이 정착한다. 창문 등의 개구부의 주위와 빗인장력에 대한 모서리의 균열보강으로 대각선방향에 벽철근보다 굵은 Ø16, D16 철근으로 배치한다. 그 정착길이는 60CM 이상으로 한다. 

벽철근의 배근                                                                                          개구부 주위 철근보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