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6)
7장.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구조 • 셸구조 (셸구조 및 절판구조 - 3) 5. 추동셸 (1) 추동면 평면곡선을 다른 평면곡선에 따라 평행이동시켜서 생기는 곡면을 추동면이라 하고 이와 같은 곡면으로 된 것을 추동셸이라 한다. 타원포물선 셸 • 쌍곡 포물선 셸 • 원통셸 등이 이에 속한다. 여기서 원통셸은 다른 평면곡선이 직선일 때이고, 회전곡면의 원통셸과 일치되는 것이다. (2) EP셸 EP셸은 타원포물선셸이라고도 한다. 이 형식의 셸은 장방형 평면을 넓게 덮는 데 적당한 구조이고 주변에 만든 박공벽 또는 아치보에 면내의 전달력에 의하여 하중을 전달하는 것으로 네 모서리점이 상대적으로 벌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코노이드 셸 한편 박공면은 원호로 하고 대립하는 박공면은 수평직선으로 하여 평행이동시켜 이루는 곡면을 코노이드셸이라 한다. 복향채광에 유리하여 공장지붕에..
7장.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구조 • 셸구조 (셸구조 및 절판구조 - 2) 3. 회 전 셸 (1) 회전면 이것은 평면곡선을 동일편면내의 `개의 축선의 주위에 회전시켰을 때에 생기는 곡면, 곧 회전면을 밀히야, 이와 같은 곡면으로 된 셸을 회전셸이라 한다. 원추형 • 타원회전면셸 • 포물선회전면셸 • 구형셸 • 원통셸 등이 이에 속한다. (2) 구형셸 임의의 곡선을 주위에 회전시켜 얻어지는 곡면에 대하여 대칭하중 및 역대칭하중에 대한 막응력은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나 휨 응력을 해석적으로 구하기는 힘들다. 곡면에서 자오선의 접선이 그 단부에서 수직이 아니면 셸의 기슭에서 발생하는 추력에 의한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텐션링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편편한 국면일수록 굳센 텐션링이 요구된다. 셸 주변은 원둘레 방향에는 부동 반지름 방향에는 가동롤러에 의하여 수직을 ㅗ지지하고 추력에 저항하는..
7장.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구조 • 셸구조 (셸구조 및 절판구조-1) 1. 개 요 휘어진 얇은 판을 쓴 구조를 곡면판구조 또는 셸구조라 한다. 이 구조는 곡면판이 지니는 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큰 간사이의 넓은 공간을 덮는 지붕을 경량으로 튼튼하게 만들 수 있는 특징이다. 곡면판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원통셸 • 구형셸 • 쌍곡포물선면셀 • 코노이드 셸 및 절판구조 등이 있다. 여러 외국의 예에서 보듯이 50m나 되는 큰 간사이의 둥근 지붕도 곡면판의 두께는 6~10 cm 정도로 설계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얇은 셸콘크리트구조가 성립되는 것은 셸이 지니는 역학적 특질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셸구조에서 곡면판을 곡판 • 각 • 셸, 또는 독일말로 샬렌이라고도 한다. 셸구조를 샬렌구조 또는 곡면판구조 • 각구조라고도 하며 약하여 곡판구조 • 곡면구조라고도 한다. 2...
7장.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구조 • 셸구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 -3) 5. 포스트텐션공법 (1) 공법의 종류 이 공법은 먼저 형틀에 PC강재가 관통되는 위치에 시스라는 관통구멍통을 묻어놓아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굳은 다음 그 시스 속에 PC강재를 꿰넣어 한 끝은 고정하고 다른 끝은 수압 • 유압잭에 의하여 긴장시키면 그 반력으로 콘크리트에 강력한 압축을 주게 된다. PC강재는 단부에서 쐐기 • 나사 등을 써서 정착하고 또한 시스내의 구멍에는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긴장재가 풀리지 않게 정착시켜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대규모의 보 • 기둥 등에 쓰이며 프리텐션 공법은 공장생산인 데 비해 이공법은 현장시공도 가능하다. 포스트텐션공법은 정착방지 • 접속구 등에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프레시네공법 # 지포드-유달-CCL 방식 # 리-맥콜방식 # 매그널-블라..
7장.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구조 • 셸구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 -2) 3. 공 법 (1) 개 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에는 포스트텐션공법과 프리텐션공법이 있다. 전자는 현장제작에 적당하고, 후자는 공장제작에 적당하다. 프리스트레싱 방식에는 온통 프리스트레싱 방식과 부분프리스트레싱방식 외에도 고안된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2) 프리스트레싱 콘크리트를 부어넣기 전에 철근을 당겨두는 것을 프리텐셔닝이라 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는 다음에 당겨지는 것을 포스트텐셔닝이라 한다. 재하 때에 휨으로 생기는 인장응력에 저항하여 그 결과로 콘크리트의 균열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이를 위하여 프리스트레스작업에서는 공강도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프리스트레스 부재는 일반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비하여 단면이 작다.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작업 시에는 하중계의..
7장.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구조•셸구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 -1) 1. 개 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란 구조물의 기둥 • 보 • 내력벽 등 외력을 지지하는 중요 부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구조물의 총칭이다. 프리스트레스란 설계하중에 따른 응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쇄되도록 계획적으로 미리 주어지는 콘크리트의 응력을 말한다. 콘크리트 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단면응력 상태를 모형화할 수 있다. 힘을 받는 부재에 생기는 인장응력을 프리스트레스 등의 방법으로 없어지게 할 수가 있다. 이것은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의 부족을 보완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아래 그림에서 1번은 콘크리트 본래의 성질을 나타내고 압축강도에 비하여 인장강도는 작다. 또 2,3,4번과 같은 방침으로 프리스트레스를 주면 콘크리트에는 각기 2,3,4번과 같은 성질이 주어져서 콘크리트..
7장.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구조 • 셸구조 (개 론-3) 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바닥판 구조 (1) 바닥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은 특수 콘크리트구조, 철골 기타 각종 구조에 사용하여 내화 • 경량 • 시공용이성 등이 있어 많이 쓰이지만 제자리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에 비하여 수평강성이 적고 진동 등에 약한 것이 결점이다. 구조 형식은 다음과 같다. 1) 형태상 분류 # 평판형 # 중공판 # T형판 # 합성보와 기성바닥판재의 조립 2) 바닥부재 기능상의 분류 # 자체 재하능력이 있는 철근콘크리트 기성판 또는 프리스트캐스트 콘크리트판 # 수평강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것 # 수평강성이 무시되는 것 (2) 구 조 조립바닥판으로 구성하는 건축물의 뼈대 • 내력벽 등은 균형 있게 배치되어 바닥판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야 한다. 수평력을 부담할 때는 바닥판부..
7장. 프리캐스트콘크리트구조 • 셸구조 (개 론-2) 4. 가구식 조립구조 (1) 기 초 기초는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의 줄기초 또는 기초보로 연결한 독립기초로 하고 현장시공으로하낟. 아래 그림과 같이 기초 콘크리트 또는 기초보의 위에 기성재기둥을 세우고 접합철물로 조일 앵커 볼트를 매설한다. 줄기초 또는 기초보의 너비는 기둥 최소단면길이 이상으로 하고 그 높이는 건축물의 처마높이의 1/12 이상 또 60cm(단층은 45cm) 이상으로, 철근은 복근으로 배근한다. (2) 기둥과 보 보는 기둥 위에 접합되므로 그 물림자리 및 접합방법은 특별한 설계와 시공으로 하며 기둥단면치수 벽체 및 보강방법은 다음과 같다. 화재 시에 15cm 각 기둥이 1방향 가열에는 3시간, 4방향 가열에는 간신히 1시간의 화재에 견딜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1층 기둥은 18cm 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