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part. 24 벽돌구조 (바닥틀 지붕틀 걸기, 벽돌벽 두께)

반응형

바닥틀 지붕틀 걸기

1. 개요

벽돌조 건물은 먼저 벽체를 쌓고 여기에 목조 마루 또는 지붕틀을 올려놓게 된다. 또 벽돌벽체를 보강하는 철근콘크리트바닥판으로 할 때도 있다. 목조 바닥틀 지붕틀의 구조법은 일반나무구조와 같으나, 바닥틀 지붕틀 등은 창문 등의 문꼴위를 피하고 튼튼한 벽 위에 상하가 수직선상에 오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2. 1층마루 2층마루

1층마루에서는 멍에 장선 등을 놓기 위하여 벽돌벽 내쌓기를 하고 장선받이를 댄다. 2층 마루에서는 보를 걸기 위하여 벽 위에 보받침 등을 놓고 그 위에 올려놓는다. 보주위는 통기와 진동에 대한 여유를 두어 다소 빈틈을 남겨둘 필요가 있고 위치 고정으로 보에 띠쇠를 대어 한 끝을 구부려 보받이돌에 파 넣어 간사이 방향의 이동을 방지한다. 

 

3. 지붕틀

벽체 맨 위에 지붕틀을 받는 깔도리를 대고 앵커 볼트로 고정하여 그 위에 비중틀의 평보를 건다. 평보는 앵켜 볼트 바로 옆에 오도록 한다. 벽돌 벽면에 간막이 나무기둥을 등을 대려면 볼트를 미리 묻어 두었다가 맞추는 것이 보통이지만, 널 또는 오리목 등을 댈 때에는 일일이 볼트를 묻을 수는 없으므로 벽돌 반 토막 크기의 나무벽돌을 소요되는 자리에 벽돌과 같이 쌓아 두고 여기에 띠장 등을 못질하여 댄다. 이 나무벽돌은 방부칠을 하고 마른 다음에 묻어 쌓되 그 줄눈틈서리에는 모르타르를 잘 다져넣어 빠져나오지 않게 한다. 그러나 지금은 콘크리트못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나무벽돌은 거의 쓰지 않는다.

 

4. 콘크리트 테두리보, 콘크리트 바닥판

벽돌벽체 전부를 보강하는 의미로서 지붕 처마 또는 층도리 부분에 철근콘크리트보를 둘러댄다. 이것을 테두리보 또는 월 거더라 하고 이 테두리보에 콘크리트바닥을 붙여 만들거나 또는 콘크리트바닥판이라도 벽돌벽에 물리는 콘크리트바닥구조로 하면 벽돌벽은 더욱 튼튼하여진다.

 

벽돌벽 두께

1. 벽돌 벽체

벽돌벽체는 목조건축과 같이 층보 지붕틀 등을 벽체에 충분히 연결시켜 외력에 대하여 일체로 되어 작용하게 만들기는 곤란하다. 역학적으로 보면 이것들은 오직 벽 위에 올려놓은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벽체는 풍압력 지진 등의 횡력에 대항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두께가 필요하다. 또 지반의 부동침하로 벽면은 금이 가고 갈라지기 쉬워서 약한 지반의 기초는 더욱 튼튼히 하고 적당히 벽두께를 더할 필요가 있다. 벽돌벽체의 강도를 단순히 역학적으로 구함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지만, 벽의 높이와 길이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보면, 벽이 높고 길수록 더욱 두껍게 해야 한다. 벽돌조에서는 벽 전체의 강도가 중요하므로, 부분적으로 약한 점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된다. 따라서 창문 기타 물꼴너비의 총합계는 벽길이의 1/3 이하고 하고 또한 벽에 균등하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문꼴은 좁게 하고 벽부분을 넓게 하여 상 하층의 문꼴은 수직선상에 오도록 배치하고 그 부근에 큰 집중하중이 오지 않게 하여야 한다. 

 

(1) 벽의 길이

벽돌벽의 길이는 벽에 교차하는 벽 또는 붙임기둥 부축벽의 중심간을 말하고, 그 교차하는 벽 또는 붙임기둥 부축벽을 대린벽이라 한다. 벽길이는 10m 이하고 하고, 10m 이상으로 할 때에는 중간에 부축벽을 만들어 보강하거나 벽두께를 증가한다. 

 

(2) 벽의 두께

벽돌벽의 두께는 마무리 재료의 두께는 포함하지 않고 그 건축물의 층수, 높이 및 벽길이에 따라 규정된 두께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밑층의 벽돌벽은 그 위층의 벽두께보다 얇게 하지 않는다. 철근콘크리트조 내의 장막벽은 이를막이벽으로 본다. 벽돌벽의 맨 위 또는 중간층 마루가 있는 부분에는 철근콘크리트조의 인방보 또는 테두리보를 설치하거나 바닥판, 지붕 등을 철근콘크리트조로 하면 벽 전체가 일체로 작용하게 되어 벽페는 더욱 튼튼하게 된다.

 

(3) 창문 너비와 벽길이

각 층의 대린벽으로 구획된 벽에서는 문꼴 너비의 합계는 그 벽길이의 1/2이하고 한다. 문꼴 위와 그 바로 위의 문꼴과의 수직거리는 60cm 이상으로 한다. 또 문꼴 상호 간 또는 물꼴과 대린벽의 중심과의 수평거리는 그벽 두께의 2배 이상으로 한다. 다만 문꼴의 주위를 철골 또는 철근콘크리트조로 보강하였을 때에는 예외로 한다. 너비 180cm 가 넘는 문꼴의 상부에는 철근콘크리트 인방보를 설치하고, 벽돌벽면에서 내미는 창 또는 퇴마루 등은 철골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보강한다.

 

2. 벽돌벽의 균열

벽돌벽에 균열이 생기는 이유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원인이 된다. 

 

(1) 벽돌조 건물의 계획 설계상의 미비

* 기초의 부동침하

* 건물의 평면 입면의 불균형 및 벽의 불합리 배치

* 불균형 또는 큰 집중하중 횡력 및 충격

* 벽돌벽의 길이 높이 두께와 벽돌벽체의 강도

* 문꼴크기의 불합리 불균형배치

 

(2) 시공상의 결함

* 벽돌 및 모르타르의 강도 부족과 신축성

* 벽돌벽의 부분적 시공 결함

* 이질재와의 접합부

* 장막벽의 상부

* 모르타르바름의 들뜨기

 

3. 시공에 대한 주의사항

1) 반입한 벽돌은 검사하여 불합격품은 반출하고 품질등급별로 정리하여 사용하는 순서별로 쌓아둔다.

2) 벽돌은 운반될 때 모서리가 깨지거나 상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벽돌은 모두 쌓기 전에 충분히 물에 축여놓고 모르타르가 잘 붙어 굳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4) 세로규준틀에는 줄눈, 창문틀, 볼트, 나무벽돌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치한다.

5) 규준틀에 의하여 가로벽돌나누기를 정확히 하되 토막벽돌이 나지 않게 한다.

6) 특별한 때 이외에는 화란식쌓기 또는 영식쌓기로 한다.

7) 하루 벽돌의 쌓는 높이는 1.5m 이하 보통 1.2m 정도로 하고 모르타르가 굳기 전에 큰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벽돌벽은 어느 부분이든 균일한 높이로 쌓아 올라가야 한다.

8) 벽돌쌓기가 끝나는 대로 포장 등을 씌어 보양하고 그 위를 다니거나 무거운 짐을 실어 충격 진동 압력 등을 주지 않아야 한다.

 

4. 백화

벽돌벽의 외부에는 공사 완료 후에 때로는 흰 가루가 돋는다. 이것을 백화라 한다. 이것은 벽에 물이 스며들어갈 때에 새로운 벽에 많이 생긴다. 이것은 탄산소다 또는 황산고토류로서 벽돌의 성분과 모르타르 성분이 경합하여 생기는 것이고 외관상 나쁠 뿐만 아니라 때로는 벽돌 표면을 벗겨버리는 일도 생긴다. 그러므로 좋은 질의 벽돌을 쓰고 줄눈사춤도 빈틈없이 다져 넣어 벽돌벽면에 빗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채양 돌림띠 벽면에 직접 빗물이 흘러내리지 않게 비막이를 완전히 하는 수밖에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