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학

(3)
2장. 기 초 (흙막이) 1. 개요 기초가 깊거나 또는 토질이 연약하고 지하수가 많이 나올 때에는 터파기의 옆 벽이무너질 우려가 있으므로 그 흙의 휴식각에 맞게 경사지어 파거나 또는 흙막이를 한다. 흙막이는 지질, 기초 깊이, 건축구조에 따라 다르고 특히 지하실 등이 있을 때는 튼튼한 구조로 해야 한다. (1) 간이 흙막이 지질이 비교적 단단하고, 터파기가 얕을 때에는 방축널을 간단히 설치하여 토사의 붕괴를 방지한다. 이 흙막이에는 기초파기 순서에 따라 그 양옆에 널을 띠장과 버팀대로 끼워댄다. 흙막이 널을 대지 않고 넓은 띠장만을 댈 때도 있다. (2) 나무널말뚝 지질이 비교적 연약하고 기초 깊이도 1.5m 정도일 때에는 나무널말뚝을 세로 연접하여 박아댄다. 널말뚝의 옆면은 맞대기, 반턱, 오늬, 제혀물림등으로 한다. 나무널말..
2장. 기 초 (말뚝기초 1-4) 11. 대구경 제자리말뚝 대구경 굴삭기로 지반에 큰 지름의 성을 파고 여기에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서 기초말뚝을 축조하는 제자리붓기말뚝을 말한다. 여기에 쓰이는 굴삭기를 총칭하여 대구경 제자리 말뚝 굴삭기라 한다. 이것은 소음진동에 대한 도시 공해문제와 공사의 대형화에 따른 큰 지지력이 요구되는 기초말뚝의 필요에서 개발된 것이다. 각종 기종이 있으나 그중 대표적인 것은 리버스기, 베노토기, 어드드릴 등이 있다. (1) 역순환 삭공공법 이것은 독일의 자르쯔깃터사가 고안한 리버스큘레이션드릴이라는 기계로 대구경 제자리말뚝 구멍을 굴삭하는 공법으로 역순환삭공공법 또는 리버스서큘레이션공법이라 한다. 축대의 선단에 설치한 드릴비트를 로터리 테이블에서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굴삭한다. 굴삭토사는 축대 ..
1장. 총 론 (건축물) 건축물 1. 건축물의 뜻 건축물(building)이란 토지에 정착하여 건설되어 지붕과 벽으로 공간을 막아 거주, 작업, 저장 등의 용도에 쓰이는 것을 말한다. 또 여기에 부속하는 대문, 담장, 굴뚝은 물론 지하실 지하실과 같은 지하건축물과 탑비, 기념상, 선전탑, 기타 지붕이나 벽 등이 없는 것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것을 건축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건축물에 관계되는 말을 비교하면 아래 다음과 같다. 공작물 : 인공적 작업으로 지상 지하에 축조된 모든 것을 가리키며 국가 또는 사회 공동으로 쓰이게 된 공작물을 영조물이라고 한다. 건조물 : 지상 또는 지중에 만들어진 공작물을 뜻하며 이것을 건설물이라고도 한다. 건물 : 건축물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보통의 집을 의미한다. 가옥 : 건물과 거의 같은 뜻을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