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력벽

(2)
4장. 블록 구조 (벽체의 구조) 1. 개 설 (1) 벽체의 높이 아래 표를 참고로 3종의 구조를 예로 참고한다. (2) 벽체의 길이 벽체의 길이는 벽의 끝모서리에서 끝모서리 간막이벽 부축벽 붙임기둥까지의 중심간의 거리를 말한다. 이것을 지지점거리라고도 한다. 보강블록조에 있어서는 벽의 길이를 따로 떨어져서 여러 군데 있는 것보다 집중된 것이 유리하다. 또한 부분적 벽걸이의 합계는 전체 벽길이의 1/2 이상으로 하고 조적조의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m² 이하고 한다. 보강블록조 내력벽의 한 방향의 길이의 합계는 그 층의 바닥면적 1m²에 대하여 0.15m 이상이 되도록 한다. 각층 벽높이 H는 4m 이하 벽길이는 10m 이하로 한다. 10m 이상 될 때에는 부축벽 붙임벽 또는 붙임기둥 등을 쌓는다. 부축벽 붙임벽 등의 ..
1장. 총 론 (건축구조의 분류 1-3) 8. 역학적 특성에 의한 분류 목구조, 조적구조, 철근콘크리트, 철골구조 등을 역학적으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각 부재의 접합 및 응력전달의 역학적 특성에 따라 구조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강구조 기둥 보 또는 거더(girder) 등의 접합이 강절가구로 된 것을 말하며, 강성구조 또는 독일어로 라멘(Rahmen)이라 한다. (2) 유연구조 구조물의 진동주기를 길게 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력을 작게 받는 내진구조를 말하며 유구조라고도 한다. 기둥 보 등은 비교적 작은 부재를 쓰고 구조적인 벽체는 쓰지 않고 고층건물 큰간살 건물에는 효과적인 유연구조가 된다. (3) 일체식구조 건물의 구조체를 연속적이고 일체가 되게 축조하는 구조로서 철근콘크리트 구조 등을 말하며, 조적조, 프리캐스트 콘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