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반조사

(4)
2장. 기 초 (지반조사 · 지반개량 1-4) 11. 동결선 한냉지의 외기온도가 계속하여 영하로 내려가면 지중에 함유하는 수분이 동결하여 지반이 부풀어 오른다. 이것을 동상이라 한다. 이 현상이 계속되어 하부까지 얼어내려가면 토사의 용적이 증가하여 구조물, 건축의 얕은 기초를 떠올리는 피해가 생기며 광장, 도로포장 등에 균열 손상을 입게 된다. 동결작용은 지표의 수분이 빙점하의 대기에 따라 먼저 동결되어 지표에 방으로 되고 하부에 접촉하여 대기의 저온이 전달되면 모세관으로 상승되는 물을 얼게 한다. 이렇게 계속되면 동결현상은 하부로 확대된다. 그러나 대기온도의 영행이 미치지 않는 두께가 되면 동결진행은 정지되고 정상상태의 층으로 유지된다. 이 동결층까지의 깊이를 동결심도라 하고, 그 하부를 동결선이라 한다. 동결현상은 그 층 자체는 팽창하지만 하부나..
2장. 기 초 (지반조사 · 지반개량 1-3) 8. 표준관입시험 관입시험이란 축대의 선단에 원추형의 콘, 스플릿스픈, 스크류포인트 등을 설치한 것을 지반 중에 관입시켜서 지반을 구성하는 토층의 경연, 상대밀도 등을 조사하는 시험이다. 이 시험은 1.5~2.0m 깊이마다 또는 지층이 달라질 때마다 한다. (1) 표준관입시험 축대의 선단에 외경 5.1cm 내경 3.5cm 길이 81cm의 스플릿 스픈 샘플러를 달고, 보링 구멍 내에 삽입하여 무게 63.5kg의 낙추를 높이 75cm에서 자유낙하시켜서, 30cm를 관입시키는 데 소요되는 타격 횟수를 측정한다. 그 타격횟수를 N값이라 한다. 이것은 토층을 구성하는 흙의 점조도 또는 상대밀도도 조사할 수 있고 N값도 알 수 있지만 동시에 시료도 채취되므로 보링할 때에 동시에 실시하기도 한다. (2) 원추관입시험..
2장. 기 초 (지반조사 · 지반개량 1-2) 6. 시료, 시료채취 (1) 개요 지반을 구성하는 지층, 토질 지하수위 등을 정밀히 판별하기 위하여 보링하여 떠낸 흙의 표본을 시료라 하며 시료를 떠내는일을 시료채취 또 시료를 채취하는 기구를 시료채취기라고 한다. (2) 시료 지반의 자연상태 그대로 떠낸 시료를 불교란시료라 하고 토립자의 배열이나 구성상태가 흐트러진 시료를 교란시료라 한다. 수세시료는 수세보링에 의하여 물과 혼합된 흙을 퍼내어 침전조에 넣어 물은 찌어버리고 만은 시료를 말하며 이때 흙은 흐트러지고 심지어 흙의 미립자는 물에 씻겨 버릴 때가 많다. 건조시료는 완전건조된 시료가 아니고, 보링하는 밑창바닥에서 떠낸 시료로 수세시료에 대한 말이다. 코어시료는 코어 보링기로 암석, 굳은 지반 또는 콘크리트 등을 원통형으로 도려낸 시료이다. 보링할..
2장. 기 초 (지반조사 · 지반개량 1-1) 1. 건물과 지반 건축물은 지반에 정착하여 변형, 이동 등이 없고 안전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건축물은 자체가 튼튼할 뿐 아니라 그 기초부는 견고한 지지기반에 정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지층은 소성적이고, 깊이 들어갈수록 치밀하게 다져진 상태이며, 점토층, 모래층, 또는 사력층 등이 중첩되어 있다. 지반은 건물을 포함하여 구조물의 중량이나 가하여지는 외력을 부담시키는 지각의 최상부를 뜻하며, 지질공학적으로는 필요한 지반의 성질은 투사한 때를 제외하면 지표에서 100m 정도의 범위로 하고 있다. 붕괴되지 않고 암반이 풍화된 채로 있는 지반을 생땅이라 하며, 다음으로 단단한지반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강안이나 해안 또는 매축지 등의 지반은 연약하며 또 그 깊이는 수십 미터에 이르기도 한다.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