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하연속벽공법

(2)
2장. 기 초 (지하연속벽공법 · 역구축공법) 4. 슬러리월 공법 슬러리는 진흙, 시멘트 기타 물에 불용성의 물질과 물이 혼합하여 이룬 것을 말하며, 진탕 시멘트죽도 슬러라 하지만 여기서는 경화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이수공법이라고도 한다. 말뚝구멍 또는 대구경제자리말뚝의 굴삭부에 비중이 큰 점액을 채워서 굴삭 벽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방법이다. 주로 벤토나이트 미분말의 용액으로 쓰이며 이수공법 또는 안정액공법이라고도 한다. 이수의 성질은 용액의 안전성 적당한 비중과 점성 강인한 이막형성성이라 한다. 이수를 안정액이라고도 한다. (1) 안정제 물질이 화학적 물리적 성질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화학약품을 말하고, 기초공사시 토양의 콜로이드성을 안정시키는 것으로 내수성, 조해성 등이 있는 물질이 필요하고 시멘트, 석회 등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part.18 지하연속벽공법 역구축공법 (주열공법, 제자리 철근콘크리트벽 공법) 1. 개요 지하연속벽공법은 건축물의 주위에 말뚝구멍 또는 일정 너비의 도랑을 연속적으로 굴삭 하며 그 속에 이수를 채워 흙벽의 붕괴를 방지하며 소정 깊이까지 굴삭이 완료되면 조립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연속적인 지중벽체를 축조하여 흙막이벽 물막이벽 또는 지하 외주 벽체로 이용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1950년경 프리팩트 콘크리트 말뚝의 축조 기술과 소일시멘트말뚝을 만드는 MIP말뚝공법에 의한 벽체가 구축되고 또 굴삭 토사를 모르타르로 바꾸어 넣는 PIP말뚝이 개발되어 말뚝열을 축조하여 흙막이벽을 형성하는 공법이 개발되었다. 이코스공법 기타 각종 굴삭기계의 개발과 신공법의 등장으로 지하공법이 크게 발전되었다. 이 공법은 시가지 공사에서는 소음, 진동 등의 공해문제와 아울러 대형 고층화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