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계 량
정밀한 배합설계를 하였어도 재료의 정확한 계량과 착실한 시공이 아니면 콘크리트의 강도나 내구성이 부정확해질 것이다. 계량에는 용적계량과 중량계량이 있다.
(1) 시멘트
시메트는 중량계량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포대정수단위를 한 비빔으로 하며 반 포대 사용 등은 피하는 것이 유리하다. 시멘트용적 1m³의 무게는 1,500kg을 표준으로 한다. 용적계량을 할 때는 그 용적의 증가율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5%, 혼합시멘트·실리카 시멘트 등은 35%로 한다.
(2) 골 재
잔골재와 굵은골재는 분류하여 두고 따로 계량한다. 골재의 계량은 용적으로 하던 것이 최근 대규모 공사에서는 배터 플랜트 등에 의한 중량계량으로 전환하고 있다. 모래를 용적계량할 때는 함수율에 의한 용적변화가 크므로 주의하여야 하고 골재의 중량계량에서는 골재의 중량에서 함수량의 중량을 수정해야 한다.
(3) 물
물의 계량은 엄밀하게 해야 하지만 장치는 간단하다. 다만 골재의 흡수량, 함수량, 표면수량을 유효수량에서 가감하여 습윤 또는 기건 모래의 기수량을 조절해야 한다.
6. 콘크리트 부어넣기
(1) 준비작업
콘크리트는 부어넣기 전에 거푸집·배근·배관 기타가 완전한지 점검하고 거푸집 안은 청소 하여 목재인 경우 물축이기를 한다. 1일 부어 넣는 구획과 순서를 정하고 또 1일 부어넣는 양을 결정한다. 플로어 호퍼를 설치할 때는 거푸집 외부에 설치하며, 믹서비빔의 외주속도는 매초 1m로 하고 1~2분간 비빈다. 비벼놓고 60분 이상 경과된 것은 절대 사용을 금지한다.
(2) 콘크리트의 운반
콘크리트 운반에 있어서는 재료의 분리, 시멘트풀의 유출이 안되게 하고 빨리 부어 넣도록 한다. 콘크리트는 플로어 호퍼에서 먼 거리에서부터 부어 나어고, 다져 고른 다음은 진동을 주지 않는다.
(3) 부어넣기
콘크리트는 매회 수정으로 부어나가도록 하고 철근은 변형 이동되지 않게 하고 철근 주위 거푸집 모서리에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잘 다지고 표면은 평면지게 고른다.
(4) 이어붓기
이어부을 위치는 보 및 바닥판은 간 사이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기둥은 바닥판 또는 기초의 상면에 수평으로 둔다. 이때 레이턴스가 안 되게 부어 넣고 또 표면에 생긴 것은 제거한다. 이음장소는 거친 면으로 만들고 청소한 다음 좋은 시멘트풀을 뿌리고 전날 콘크리트와의 부착이 잘 되도록 한다. 한 공정으로 하는 이어붓기새는 시공줄눈이라 하고 구조적인 신축줄눈과는 다르다. 이음자리에 대는 가설 샛쪽을 막이판이라 한다. 따라서 이어붓기의 장소는 전단력이 가장 적은 곳에 두고 공사를 중단하기에도 편리한 장소라야한다. 콘크리트를 부어넣는 속도 방법에 따라 콘크리트를 하루 공정으로 넣을 수 있는 곳이라야 한다.
(5) 진동다짐
진동기의 종류는 꽃이식 막대형 내부진동기·거푸집진동기·콘크리트표면 진동기, 곧 외부진동기 등이 주로 쓰인다. 진동기는 슬럼프 15cm 미만의 된비빔 콘크리트에는 반드시 사용하도록 하고 1일 콘크리트량 20 m³ 마다 1대를 표준으로 하며 3대마다 1대의 예비품을 준비해야 한다. 진동기를 철근에 대어 진동을 주면 부착이 감소되므로 피해야 하고, 콘크리트의 표면에 시멘트물이 떠오를 정도의 30~40초 정도가 표준이다. 진동기는 진동효과가 중복되지 않는 약 60cm 간격으로 서서히 뽑아 올려 구멍이 남지 않게 하고 엉기기 시작한 콘크리트에는 진동을 주지 않아야 한다.
7. 양 생·청 소
(1) 양 생
일광의 직사·한기·풍우를 피하고 콘크리트의 수화작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모포·포장 등을 씌워 5일간 살수하여 습윤을 유지하고, 부어넣은 후 3일간은 충격을 주지 않도록 콘크리트를 보호한다. 양생은 보양이라고도 한다. 동기콘크리트에 있어서는 5일간은 2℃ 이하가 되지 않게 보온하고, 또 습윤을 유지한다.
(2) 청 소
콘크리트공사가 완료되면 상면에 흘러내린 자갈·콘크리트물 등을 청소하여 고착되지 않게 하고, 구석 등에 모인 콘크리트는 정밀하게 정리 청소한다.
'건축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거푸집) (2) | 2022.11.04 |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4) (0) | 2022.10.12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2) (1) | 2022.09.18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 -1) (1) | 2022.09.12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개 론) (0) | 202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