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 요
거푸집은 콘크리트에 직접 접하는 거푸집널과 이것을 정확한 위치로 유지하는 지지틀의 총칭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 부어넣기의 작업과 응결 • 경화하는 동안 일정한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키는 주형인 공시에, 그 경화에 필요한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고, 외기의 영향을 방비할 목적으로 쓰이는 가설물이다. 콘크리트의 자중, 공사 중의 작업하중, 콘크리트 부어넣기의 충격 및 벽 • 기둥 • 보옆판 등은 갓부어넣은 콘크리트의 측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경화하여 예상되는 모든 하중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가 날때까지 보양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당기간 존치해야 한다. 이러한 기간을 존치기간이라 하며 아래 표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2. 거푸집 재료
(1) 거푸집널
거푸집널은 목재와 철판재가 주로 쓰이고 특수한 곳에는 함석, 또는 플라스틱판재를 쓸 때가 있다. 목재널은 쪽널을 쓸 때와 합판을 쓸 때가 있고 이것을 적당한 크기의 거푸집 패널로 짜서 슬 때가 많다. 철판거푸집은 철판을 앵글 등의 테에 용접한 철판으로 짜서 쓰는 것이며 규격적인 건물이나 제치장콘크리트면에 많이 쓰인다.
(2) 동 바 리
거푸집널을 짜세우는 지지틀을 동바리틀 • 지지틀 또는 지보공이라 한다. 거푸집을 받치는 기둥을 받침기둥 • 동바리 또는 지주라고도 하며 지름 10cm 내외의 통나무 또는 각재로 한다. 파이프 지주는 철관이 두 개로 되어 중간에 나사 장치가 있어 약간의 높낮이는 이로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을 신축관지주라 한다. 파이프 서포트의 상하에는 받침판이 고정되어 있다.
3. 기초거푸집
단단한 지반일 대에는 기초를 소요의 크기에 ㅁ맞춰 파고 직접 콘크리트를 부어넣을 수도 있으나 무른 진흙 • 모래와 같은 불안정한 지반일 때는 기초거푸집을 짜대되 모서리에 말뚝을 박고 기초 거푸집을 고정한다.
4. 벽거푸집
벽거푸집은 대개 기초 또는 바닥보 위에 지지된다. 벽거푸집은 토대 • 옆판 • 샛기둥 • 띠장 • 긴결재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조립방법은 한쪽벽 옆판을 버팀대 등으로 지지하여 세우고, 철근을 모두 배근한 후 다른 쪽벽 거푸집널을 세운다. 안쪽 것을 내부거푸집 바깥쪽의 것을 외부거푸집이라 한다. 벽거푸집은 패널을 세로로 쓸 때와 가로로 쓸 때가 있고 면적이 큰 것은 큰 매널로 짜서 간간히 조립할 때도 있다.
5. 기둥거푸집
거푸집은 재료는 목재 또는 합판재로써 아래 그림과 같은 형태로 한다.
목조 원형기둥 거푸집은 개 내부를 합판 • 하드 보드 • 철판 등으로 부터 사용하기도 한다. 플랫 슬러브 구조의 원추대형 주두는 기성제품의 철판 또는 섬유제품 등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6. 보거푸집 • 바닥거푸집
보의 거푸집은 밑판과 양쪽 옆판 및 긴결재 • 가새 등으로 구성되고 밑판은 받침대와 받침기둥에 지지된다. 바닥거푸집널은 받침기둥 위에 멍에를, 벽 옆 • 보옆에는 장선받이를 대고 여기에 패널을 짜낸다. 철골보의 거푸집은 철재달대로 철골보에 달아맨다 받침기둥은 목재, 철관재 또는 철관재받침틀이 쓰인다.
7. 특수 거푸집
(1) 장선바닥 거푸집
장선바닥에는 1방향 장선바닥판 구조와 우물반자형식인 2방향 장선바닥판 구조가 있다. 바닥판 하부에 리브형상으로 된 철재 거푸집 또는 팬은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다.
(2) 미끄럼 거푸집
미끄럼 거푸집은 굴뚝 또는 사일로 등의 평면형상이 일정한 높은 구조물에 사용된다. 이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부어넣는 대로 해체하지 않고 수직으로 미끄러올려 계속 콘크리트를 부어나가는 방법으로 한다. 거푸집의 끌어올리기 및 콘크리트부어넣기의 속도는 1일에 3~5m이고 주야 겸행작업으로 한다.
'건축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근-2) (0) | 2022.12.07 |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근-1) (0) | 2022.11.21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4) (0) | 2022.10.12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3) (1) | 2022.10.02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2) (1) | 2022.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