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개론 (3) 썸네일형 리스트형 5장. 돌 구조 (아치 및 각부 돌쌓기) 1. 아치틀기 돌아치도 벽돌조 아치와 같이 아치돌의 줄눈을 아치 중심에 모이게 한다. 아치의 중심부에 오는 아치돌을 이마돌이라 한다. 그 접합에는 촉 · 꺽쇠 등을 쓴다. 아치간사이가 클 때에는 벽의 뒷부분에 인방보로 보강한다. 아치돌의 바깥둘레를 겉둘레라 하고, 안쪽의 둘레를 안둘레라 하며, 그 나비를 각각 겉나비 · 안나비라 한다. 아치돌의 높이와 안길이는 그림과 같다. 안길이가 큰 것은 성문에서 볼 수 있다. 아치를 쌓는 것을 아치틀기라 하며, 아치가설틀을 짜세워 댄다. 아치가설틀을 센터링 또는 아치틀이라고도 한다. 2. 창문 갓둘레 (1) 일반 사항 창문 갓둘레에는 미려하게 꾸미기 위하여 막돌 또는 마름돌벽이라도 창문 주위 갓둘레에는 다듬돌을 쓸 때가 많다. 특히 벽돌벽의 창문 갓둘레에는 석재를 .. 5장. 돌 구 조 (돌쌓기법) 1. 돌나누기 돌나누기의 실계도에 따라 돌크기 및 줄눈의 위치 등을 상세히 하는 것으로서 벽돌나누기와 같은의미의 것이다. 보통 돌나누기는 축척 1/50 정도로 하고 이것을 돌나누기의 표준으로 한다. 돌의 크기는 뒷벽쌓기를 벽돌 • 블록쌓기로 하였을 때에는 높이는 그 치수의 정배수로 나누어 맞추고, 길이도 벽돌 또는 블록의 길이에 맞추는 것이 좋다. 뒷벽이 콘크리트조일 때에는 그 크기를 자유로 할 수 있다. 손다듬돌의 두께는 다듬는 공정상 그 두께를 150mm 이하로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돌 쌓 기 돌 가공이 완료된 것은 그 용도 • 설치장소 • 공법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별한다. (1) 습식돌쌓기 돌을 쌓을 때 모르타르 • 콘크리트 등을 사춤쳐놓는 것을 사춤쌓기 • 찰쌓기 또는 습식쌓기라 한.. 5장. 돌 구 조 (석재가공 및 쌓기법식) 1. 석재가공 (1) 돌쪼갬 두꺼운 돌을 가르거나 쪼갤 때에는 돌눈결에 따라 약 20cm 내외의 간격으로 쐐기구멍을 파고 여기에 쇠부리를 끼우고 내리쳐서 쪼갠다. 3cm 정도의 두께로 조깰 때에는 기계톱 등으로 금강사 • 카보런덤과 물을 뿌리면서 켠다. (2) 표면마무리 선개의 깬 면을 채석면이라 하고, 쪼갬면을 조갬면이라 하며, 돌눈결에 따라 쪼개진 면을 돌결면이라 한다.돌다듬기는 손다듬기와 기계다듬기로 대별된다. 손다듬기는 사용공구에 따라 각기 명칭을 달리 한다. a) 메다듬 마른돌의 거친면의 돌출부를 쇠메 또는 평날메를 대고 쳐서 따내어 면을 보기 좋게 다듬은 것으로서, 혹따기의 정도에 따라 큰혹떼기와 작은혹떼기로 구별한다. b) 정다듬 끝날이 뾰족한 정으로 쪼아 평평하게 다듬은 것으로 정 자국의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