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기초 (3) 썸네일형 리스트형 2장. 기 초 (말뚝기초 1-3) 9. 제자리 붓기 말뚝 제자리붓기콘크리트말뚝은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이라고도 하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지중에 뚫은 구멍 속에 현장에서 철근과 콘크리트를 채워서 철근콘크리트말뚝을 조성하는 공법이다. 구멍을 뚫는 방법과 구멍의 형상 사용삭공기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가 있다. 재래로 철관을 타격 또는 진동시켜 박아 넣고, 그 속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채우면서 관은 빼내어 말뚝을 만드는 공법과 말뚝구멍을 먼저 굴학하고 조립철근 삽입 및 콘크리트 채워 다지기를 하여 말뚝을 형성하는 공법이 쓰인다. 지름 60cm 이하의 말뚝을 소구경말뚝이라 하고, 지름 80cm 이상의 말뚝을 대구경말뚝이라 하며, 이와 같이 단면이 큰 말뚝을 피어, 또는 피어기초라 한다. 대구경말뚝은 주로 기계굴삭에 의하여 지름 1.5~3.0.. 2장. 기 초 (기초구조 1-2) 5. 직접기초 건물의 최하부의 기초구조의 뜻으로 파운데이션이라고도 하며 또 하부구조의 호칭이 되기도 한다. 광의로는 지정을 포함하여 기초라 한다. 직접기초는 건물의 하중을 직접 지반에 전달하는 기초로서 지반면에 넓게 분포시켜서 건물의 침하 방지와 안정 유지를 도모하는 것이다. 직접기초의 대표적인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독립기초 기둥 기타 단독구조물의 하부에 구축된 기초를 독립기초라고 하며 1개의 기둥 밑에 있는 것을 기둥기초라 한다. (2) 줄기초 이것은 연속기초라고도 하며 조적조의 벽기초 또는 철근콘크리트조 연결기초를 말한다. 격자형으로 연결된 것을 2방향연속기초라고 한다. (3) 온통기초 건물의 하부 전체 또는 지하실 전체를 하나의 기초판으로 구성한 기초로서 매트 슬래브 기초 또는 매트기초라고도.. 2장. 기 초 (기초구조 1-1) 1. 기초의 선정 기초구조는 상부구조의 계획단계에서 지반의 조건 상부구조 및 기초구조를 아울러 고려하고 설계해야 한다. 건물의 형태는 평면적으로나 입체상으로 균형되고 간단한 이 기초구조의 계획이 용이하다. 또 건물은 조적조보다는 철근콘크리트조의 건물이 유리한 기초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부구조 강성이 높을수록 상부구조 자체로 부동침하에 대항하는 능력이 커지고 기초구조의 부담을 덜게 하는 의미도 있다. 대지는 연약한 지반이고 지형상 내력 차이가 보일수록 면밀히 조사하고 또 매립지 경사지면 등에서는 기초의 깊이 구조 등을 감안하여 지층의 침하 사면붕괴 등과 지하수위 변동 등도 감안해야 한다. 2. 표준적 기초구조 지반의 조건은 상부구조와 기초의 경계로서 대체로 건물 최하바닥면에 해당하는 것이고 반드시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