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근

(2)
6장.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근-3) 6. 철근의 피복 철근은 콘크리트에 두껍게 덮여 부착되므로 두 이질재는 일체가 되어 그 힘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철근이 소요의 두께까지 콘크리트에 덮여 있지 않으면 부재내부응력에 의한 균열, 외기의 습기에 의한 철근의 녹슬기, 또는 불의의 화재로 철근의 빠른 가열 등의 강도 저하로 구조체는 파괴될 것이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을 내구 • 내화적으로 유지하려면 적당한 피복두께가 있어야 한다.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내용연수는 감가상각 등을 고려하여 65~75년, 구조체의 내용연수는 150년 정도라 한다. 철근은 알칼리성인 콘크리트 속에 묻혀 녹슬지 아니하고 오히려 당초에 녹슨 것도 콘크리트에 흡수되는 정도라고까지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내구력은 무한한 것이라 하지만 콘크리트는 공기중의 탄산가..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근-1) 1. 재료 철근은 봉강 • 원형강이라고도 한다. 규격에서는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이라고 하며, 민철근과 이형철근이 있다. 재생강재로 만든 철근을 재생강봉 • 재생이형봉강이라 한다. 이형철근은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을 돕기 위하여 돌기를 만들고, 축선 방향의 돌기를 리브, 가로방향인 것을 마디라 한다. 이형철근의 공칭지름은 단위길이당의 무게와같은 원형철근의 지름으로 하고 있다. 원형철근의 지름은 Ø로, 이형철근의 공칭지름은 D로 표시하며, mm 단위의 치수를 기입한다. 고강도 철근은 일반적으로 항복점 30kg/mm² 를 넘는 높은 강도의 철근으로 이것을 쓸 때는 고강도콘크리트를 써서 충분한 부착강도를 얻을 수 있어야 하고 따라서 철근은 이형철근으로 한다. 고강도철근을 고력철근이라고도 한다. 용접철망은 지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