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학개론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근-1)

반응형

1. 재료

철근은 봉강 • 원형강이라고도 한다. 규격에서는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이라고 하며, 민철근과 이형철근이 있다. 재생강재로 만든 철근을 재생강봉 • 재생이형봉강이라 한다. 이형철근은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을 돕기 위하여 돌기를 만들고, 축선 방향의 돌기를 리브, 가로방향인 것을 마디라 한다.

철 근

이형철근의 공칭지름은 단위길이당의 무게와같은 원형철근의 지름으로 하고 있다. 원형철근의 지름은 Ø로, 이형철근의 공칭지름은 D로 표시하며, mm 단위의 치수를 기입한다. 고강도 철근은 일반적으로 항복점 30kg/mm² 를 넘는 높은 강도의 철근으로 이것을 쓸 때는 고강도콘크리트를 써서 충분한 부착강도를 얻을 수 있어야 하고 따라서 철근은 이형철근으로 한다. 고강도철근을 고력철근이라고도 한다. 용접철망은 지름 2.6~4.3 mm의 철선을 눈금 15~20cm 정도의 격자로 배치하고, 교점을 전기저항 용접한 것이다. 이것은 1.5 X 3m 정도의 크리고 하거나, 너비 1.0~2.4m의 두루마리로 제작한 것이 있고, 간이 지면콘크리트 다짐 등에 쓰인다.

원형철근의 단면적과 중량
이형철근의 지름, 단면적, 중량
고력철근의 지름, 단면적, 중량
철선의 지름, 단면적 및 주장

 

2. 철근의 구부림과 갈고리

철근의 말단부 또는 정착이음의 끝은 구부려 갈고리를 내어 콘크리트 속에 깊이 묻히게 한다. 철근의 끝은 180도, 135도 또는 90도로 구부린다. 보 철근의 중간구부림은 보통 45도로 하고, 철근구부림 안지름 및 갈고리 끝남기는 아래 표와 같다. 

 

철근 구부리기의 표준

이형철근에 있어서는 벽•바닥판의 철근이음은 갈구리철근으로 하지 않고, 그냥 겹쳐있고, 중요한 정착부분 또는 기둥•보 등의 주근은 대개 직각 갈고리근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철근갈고리 구부림 안지름, 끝남기

 

3. 철근의 정착

(1) 철근의 정착

강력한 인장력을 받는 보의 주근을 기둥콘크리트 속에 깊이 연장하여 뽑혀 나오지 않게 하는 것을 정착이라 한다. 정착되는 길이를 정착길이라 하고, 그 끝은 갈고리로 구부려 콘크리트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한다. 갈고리는 상당한 정착능력이 있으니까 직선부가 부착력에 무력하게 되더라도 최후의 뽑힘저항을 하는 것이다. 다만, 기둥 또는 굴뚝 이외에 있어서 이형츨근을 사용할 때에는 그 끝부분은 구부리지 않을 수 있다. 보의 정착길이는 부착응력도에 따라 구조계산에 의하여 산정하되 아래표에서 정한 최소한의 길이를 확보하도록 하여야 한다.

 

철근의 정착 및 이음의 최소길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