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근콘크리트

(7)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구조계획-2) 3. 구조의 선정 여기서는 라멘구조에 한정하여 편의상 평면과 입면으로 나누어 생각하기로 한다. (1) 골조의 평면 건축물의 평면형은 직사각형, ㄴ형 및 ㄷ형으로 되는 것이 가장 많다. 평면형은 사각형으로 해야 된다는 이유는 없으나 내부공간이용 • 구체의 구조, 시공상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대단히 유리하다. 특히 철근조립을 사각형의 평면으로 하면 간단해지며, 거푸집 조립에 있어서도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평면을 사각형의 집합으로 하면 입면도는 사각형으로 될 때가 가장 많다. 평면을 사각형의 집합으로 하면 입면도는 사각형으로 될 때가 가장 많다. 보의 위치는 형면적으로 기둥배치에 따라 결정되며 기둥과 기둥을 연결한 보를 콘보라 하며, 큰보와 큰보에 지지되는 보를 작은보라 한다. (2) 구조부재와 배..
6장.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근-3) 6. 철근의 피복 철근은 콘크리트에 두껍게 덮여 부착되므로 두 이질재는 일체가 되어 그 힘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철근이 소요의 두께까지 콘크리트에 덮여 있지 않으면 부재내부응력에 의한 균열, 외기의 습기에 의한 철근의 녹슬기, 또는 불의의 화재로 철근의 빠른 가열 등의 강도 저하로 구조체는 파괴될 것이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을 내구 • 내화적으로 유지하려면 적당한 피복두께가 있어야 한다.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내용연수는 감가상각 등을 고려하여 65~75년, 구조체의 내용연수는 150년 정도라 한다. 철근은 알칼리성인 콘크리트 속에 묻혀 녹슬지 아니하고 오히려 당초에 녹슨 것도 콘크리트에 흡수되는 정도라고까지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내구력은 무한한 것이라 하지만 콘크리트는 공기중의 탄산가..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거푸집) 1. 개 요 거푸집은 콘크리트에 직접 접하는 거푸집널과 이것을 정확한 위치로 유지하는 지지틀의 총칭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 부어넣기의 작업과 응결 • 경화하는 동안 일정한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키는 주형인 공시에, 그 경화에 필요한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고, 외기의 영향을 방비할 목적으로 쓰이는 가설물이다. 콘크리트의 자중, 공사 중의 작업하중, 콘크리트 부어넣기의 충격 및 벽 • 기둥 • 보옆판 등은 갓부어넣은 콘크리트의 측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경화하여 예상되는 모든 하중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가 날때까지 보양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당기간 존치해야 한다. 이러한 기간을 존치기간이라 하며 아래 표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2. 거푸집 재료 (1) 거푸집널 거푸..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3) 5. 계 량 정밀한 배합설계를 하였어도 재료의 정확한 계량과 착실한 시공이 아니면 콘크리트의 강도나 내구성이 부정확해질 것이다. 계량에는 용적계량과 중량계량이 있다. (1) 시멘트 시메트는 중량계량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포대정수단위를 한 비빔으로 하며 반 포대 사용 등은 피하는 것이 유리하다. 시멘트용적 1m³의 무게는 1,500kg을 표준으로 한다. 용적계량을 할 때는 그 용적의 증가율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5%, 혼합시멘트·실리카 시멘트 등은 35%로 한다. (2) 골 재 잔골재와 굵은골재는 분류하여 두고 따로 계량한다. 골재의 계량은 용적으로 하던 것이 최근 대규모 공사에서는 배터 플랜트 등에 의한 중량계량으로 전환하고 있다. 모래를 용적계량할 때는 함수율에 의한 용적변화가 크므로 주의하..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2) 4. 배 합 (1) 개 요 콘크리트는 소요강도가 충족되고, 밀실 균일하여 내구성이 커야 하며, 시공이 용이해야 한다. 콘크리트의 소요강도는 구조계산서에 정한다. 콘크리트의 강도는 시멘트의 강도와 물시멘트비로 결정된다. 시멘트 강도가 클수록, 물시멘트비는 적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커진다. 밀실균일한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공하기 좋은 콘크리트의 묽기, 즉 시공 연도가 적당하여야 한다. 이것을 도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콘크리트의 배합법 콘크리트의 각 재료를 섞어 비빌 때 그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각 재료의 비율, 또는 단위 용적의 콘크리트 중에 포함되는 각 재료의 양으로서, 표시방법에 따라 중량배합과 용적배합으로 구분한다.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각 재료의 비율은 보통 시멘트를 1로 하고 잔..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 -1) 1. 개 요 콘크리트는 물·시멘트·모래·자갈 및 혼화재를 혼화하여 성형 고착시킨 것이다. 시멘트를 물로 반죽한 시멘트풀은 모래와 자갈의 공간을 메꾸어 화학작용으로 엉기고 굳어져서 석재와 같은 물체가 된다. 콘크리트는 경화를 계속하여 28일이 지나면 거의 최종압축강도에 도달하며 이때까지는 시멘트의 화학작용이 계속되도록 습기와 온도를 유지해야 하고 이렇게 하는 것을 양생 또는 보양이라 한다. 2. 시 멘 트 건축공사에 쓰이는 시멘트의 종류는 맣으나 포틀랜드 시멘트가 주로 쓰이고, 고로슬래그시멘트, 실리카 시멘트는 특수한 때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시멘트강도시험은 3개의 시험체를 만들어 휨시험을 하고, 여기서 생긴 6개의 토막을 압축시험한 강도를 평균하여 평균강도로 한다. 사용하는 시멘트 500포대당 1회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개 론) 1. 철근콘크리트 개요 철근콘크리트는 철근으로 보강한 콘크리트라는 뜻이다. 즉, 모래 · 자갈 등을 골재로 하고, 시멘트와 물을 섞어 제작된 콘크리트는 압축력에는 상당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으나 인장력에는 극히 약하므로, 이 약점을 인장에 강한 철근으로 보강하여 형성한 합성구조재이다. 2.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원리 위의 그림에서 (a)와 같이 단순보에 하중이 작용하면 (b)와 같이 중립축을 경계선으로 위쪽에는 압축응력, 아래쪽에는 인장응력이 생긴다. 이와 같은 보를 콘크리트만으로 만들면 ©와 같이 밑에 금이 가고 벌어지면서 쉽게 부러질 것이다. 콘크리트는 석재와 같이 인장력에 약하므로 (d)와 같이 인장측에 철금을 넣어 보강하면 콘크리트는 인장저항력이 없어도 철근이 인장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어 안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