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6)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기둥) 1. 개 요 기둥은 건물의 각 층 바닥하중을 기초에 전달하는 수직압축부재이고, 무근콘크리트로도 할 수 있으나 단면이 커져서 바닥면적이 감소되어 실용적이지 못하다. 철근으로 보강된 콘크리트기둥은 동일단면의 무근콘크리트기둥의 25~30배나 더 강해지며 수평력에 의한 휨에도 유효하게 저항할 수 있다. 기둥을 보강하는 세로철근, 즉 축방향철근이 주근이고, 그 주위에 수평으로 둘러감은 철근을 띠철근이라 한다. 원형 • 다각형 기둥에서 나선형으로 둘러감은 것을 나선철근이라 한다. 띠철근이나 나선철근은 주근의 좌굴과 콘크리트가 수평으로 터져나가는 것을 구속하며, 수평력에 의한 전단보강의 작용을 한다. 2. 기둥의 배치 • 배근 (1) 단면 철근콘크리트구조 기둥의 간사이는 목조와 철골조의 중간 정도로서 도리방향 4~6..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보-2) 5. 보의 각부 상세 (1) 보의 단면 • 주근 보의 유효춤은 간사이의 1/15~1/10 정도로, 그 너비는 유효춤의 1/2~2/3 정도로 한다. 철근비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어느 단면에서의 철근 단면적과 부재 단면적과의 비로, 일반적으로 100분율로 나타낸다. (2) 보의 주근 주요한 보는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근하는 복근으로 하고, 단근보라 하여도 늑근지지관계로 축측에 가는 철근을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보의 주근의 지름은 Ø 12mm 이형철근 D13 이상으로 하며 보통 16~25mm로 한다. 그 배치는 특별한 때를 제외하고는 2단 이하로 하고 철근 사이는 2.5cm 이상, 또한 철근지름 1.5배 이상으로 한다. 굵은 주근의 개수를 적게 하면 부착응력도가 부족하게 되며, 이때는 가는 철근으로 바꾸어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보-1) 1. 단순보 단순보는 양단이 벽돌 • 블록 • 석조벽 등에 단순히 얹혀 있는 상태로 된 보이다.(아래 그림의 a) 보의 하부에는 인장력이 생겨 균열되므로 재의 축방향으로 철근을 넣어 보강하고 도 전단력에 의한 빗인장력 때문에 보에 빗금이 가게 되므로 이에 대한 보강근을 U자형 또는 ㅁ자형으로 배치한다. 인장력에 대항하는 재축방향의 철근을 보의 주근이라 하고, 인장측에만 철근을 넣은 홑근보라 하며, 중요한 보로서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근한 것을 복근보라 한다. 단순보의 인장력은 보의 중앙부에서 최대로 되고, 단부로 갈수록 적어지므로 단부의 하부철근은 많이 필요한 것은 아니니까 그 일부는 굽혀 올릴 수가 있다. 이 철근을 굽힌철근이라 하고, 하부직선근 중에서 중간철근만을 굽힌철근으로 할 때가 많다. 전단력을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구조계획-3) 4. 각부 계획 (1) 간사이 및 층높이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은 라멘구조로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라멘을 구성하는 보나 기둥의 키기를 목조건축과 같이 관습적으로 어느 정도면 된다고 정할 수는 없다.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뼈대는 보방향과 도리방향의 라멘이 서로 교차되어 입체적으로 구성되고, 그 간격은 보통 4~7m 정도이고, 따라서 1개의 기둥이 부담하는 바닥판의 하중의 분담면적은 아래 그림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또한 l𝓍:l𝓎=1:1~1:2 하는 것이 유리하고 한 편을 9~10m로 크게 해야 할 때는 다른 편은 3~3.5m로 작게 하여 큰 간사이의 불리한 점을 보완하도록 한다. 그러나 고강도의 철근 또는 콘크리트를 사용한다면 면적을 40m² 이상이라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층높이는 1층에서 3.5~..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구조계획-2) 3. 구조의 선정 여기서는 라멘구조에 한정하여 편의상 평면과 입면으로 나누어 생각하기로 한다. (1) 골조의 평면 건축물의 평면형은 직사각형, ㄴ형 및 ㄷ형으로 되는 것이 가장 많다. 평면형은 사각형으로 해야 된다는 이유는 없으나 내부공간이용 • 구체의 구조, 시공상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대단히 유리하다. 특히 철근조립을 사각형의 평면으로 하면 간단해지며, 거푸집 조립에 있어서도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평면을 사각형의 집합으로 하면 입면도는 사각형으로 될 때가 가장 많다. 평면을 사각형의 집합으로 하면 입면도는 사각형으로 될 때가 가장 많다. 보의 위치는 형면적으로 기둥배치에 따라 결정되며 기둥과 기둥을 연결한 보를 콘보라 하며, 큰보와 큰보에 지지되는 보를 작은보라 한다. (2) 구조부재와 배..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구조계획-1) 1. 개 요 건축물이 자체중량 • 인간이나 물품 또는 눈의 중량에 의하여 파괴되거나 또는 지진이나 태풍에 견딜 수 없거나 기초가 약하여 건축물이 기울어진다고 하면 그 기능은 완전히 상실될 것이다. 건축물은 지지되어 있는 지반을 포함하여 파괴되거나 기울지 않도록 계획하여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건축뼈대에 대하여 기능과 안전을 다하도록 하는 것을 구조계획이라 한다. 이와 같이 계획하여 골조를 선택하고 역학적인 계산을 하는 것을 구조계산이라 하고 그 건축물의 뼈대를 설계하는 것을 구조설계라 한다. 2. 철근콘크리트 구조계획 (1) 개 요 철근콘크리트구조체는 그 자체의 원리 및 특성에 의하여 구조형식을 자유자재로 정할 수 있으나. 주로 기둥과 보로써 구성되는 강절구조, 즉 라멘 형식이 많다. 라멘형식의 구..
6장.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근-3) 6. 철근의 피복 철근은 콘크리트에 두껍게 덮여 부착되므로 두 이질재는 일체가 되어 그 힘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철근이 소요의 두께까지 콘크리트에 덮여 있지 않으면 부재내부응력에 의한 균열, 외기의 습기에 의한 철근의 녹슬기, 또는 불의의 화재로 철근의 빠른 가열 등의 강도 저하로 구조체는 파괴될 것이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을 내구 • 내화적으로 유지하려면 적당한 피복두께가 있어야 한다.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내용연수는 감가상각 등을 고려하여 65~75년, 구조체의 내용연수는 150년 정도라 한다. 철근은 알칼리성인 콘크리트 속에 묻혀 녹슬지 아니하고 오히려 당초에 녹슨 것도 콘크리트에 흡수되는 정도라고까지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내구력은 무한한 것이라 하지만 콘크리트는 공기중의 탄산가..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근-2) 4. 철근의 이음 (1) 개 요 철근의 이음은 부착력에 의한 겹친 이음 외에 용접이음 또는 연결재를 사용한 기계적 이음이 있다. 가스압접이나 전기압접에 의 하여 철근을 이으면 용접부가 두드러져 단면이 크게 되어 충분히 신뢰할 수 있으며 철근량도 절약되고, 콘크리트 부어넣기도 용이하여 유리하다. 철근의 이음위치는 큰 인장력이 생기는 곳을 피하고 경미한 인장력 또는 압축측에 두는 것이 원칙이다. 이음의 응력도는 규정된 용접 • 부착응력도의 3/4을 초과하지 않고 한 철근의 전응력을 다른 철근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 (2) 겹친이음 철근을 나란하게 옆대어 이어나가는 것을 겹친이음이라 하고, 그 끝은 갈고리를 내고 겹친 부분을 결속선을 묶는다. 겹친 길이, 즉 이음길이는 콘크리트의 강도, 철근의 굵기와 강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