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6) 썸네일형 리스트형 PART 20. 벽돌 구조 (개론) 1. 일반 사항 벽돌구조는 건물의 벽체, 기초 등을 벽돌과 모르타르로 쌓아 만든 것으로 블록 구조, 돌 구조 등과 같이 조적 구조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지붕틀, 층보, 마룻바닥, 전장, 창문틀 등은 목조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조로 한다. 이벽돌구조법은 실용상 미관성으로 블록 석재 타일 등을 섞어 쓰기도 하고 담장, 굴뚝, 기타 여러 구조물을 축조하는 데 널리 이용된다. 벽돌구조 건물은 나무 구조 건물에 비하여 벽두께가 커지므로 실내면적이 상당히 줄어들게 되고 건물의 무게가 크고 건축공사비도 다소 더 들지만 내화 내구적이고 튼튼할 뿐 아니라 외관이 장중 미려하고 구조 시공법이 간단하므로 다른 주고 건축으로는 이룰 수 없는 장점이 있다. 벽돌은 고대로부터 '전'이라고 하여 널리 쓰였고 궁전 불사 탑비 등.. 2장. 기 초 (지하연속벽공법 · 역구축공법) 4. 슬러리월 공법 슬러리는 진흙, 시멘트 기타 물에 불용성의 물질과 물이 혼합하여 이룬 것을 말하며, 진탕 시멘트죽도 슬러라 하지만 여기서는 경화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이수공법이라고도 한다. 말뚝구멍 또는 대구경제자리말뚝의 굴삭부에 비중이 큰 점액을 채워서 굴삭 벽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방법이다. 주로 벤토나이트 미분말의 용액으로 쓰이며 이수공법 또는 안정액공법이라고도 한다. 이수의 성질은 용액의 안전성 적당한 비중과 점성 강인한 이막형성성이라 한다. 이수를 안정액이라고도 한다. (1) 안정제 물질이 화학적 물리적 성질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화학약품을 말하고, 기초공사시 토양의 콜로이드성을 안정시키는 것으로 내수성, 조해성 등이 있는 물질이 필요하고 시멘트, 석회 등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지금 시작하는 "생각 인문학" 을 읽고..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이화선 님의 "생각 인문학"입니다. 인문학이라고 하면 무너가 딱딱하고 학구적인 내용만 있는 분야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의 내용은 '창의적인 삶'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창의성이란 무엇인지 바로 자기 이해와 새롭고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도구로써 창의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질문합니다. 책의 내용은 크게 5가지로 창의적인 사람들의 강력한 특성들에 대해 하나하나 설명하며 내용을 이어갑니다. 1. 나는 관찰하는가? "창의적인 문제 해결은 남들이 무심코 지나쳤던 현상이나 문제를 발견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아이디어의 단초는 남들이 보지 못한 정보를 모으고 수집하는 행위에서 비롯합니다. 그리고 이런 일련의 핵심 기술이 관찰입니다." 생활 속에서 관찰의 중요성이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첫.. 자동차 타이밍 벨트 교체시기는.. 오늘은 자동차 점검 중에 타이밍 벨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타이밍 벨트는 크랭크축에 장착된 타이밍 기어와 캠축에 장착된 타이밍 기어를 연결해 캠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벨트로써, 혼합기가 엔진 내부에 들어갔다가 나오는 것을 제어하는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 두 밸브의 시간을 조정하는 벨트입니다. 자동차의 타이밍 벨트는 대부분 고무로 되어 있어서 노후되면 서서히 갈라지기 시작하다가 어느 순간 끊어지게 됩니다. 만약 타이밍 벨트가 끊어지면 실린더 헤드, 실린더 블록까지 손상을 입고 막대한 수리비를 지출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타이밍 벨트의 수명은 차종과 운전자의 습관에 따라 달라지지만 평균적으로 주행 거리 60,000~80,000km 정도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주행 거리 40,000km 초과.. part.18 지하연속벽공법 역구축공법 (주열공법, 제자리 철근콘크리트벽 공법) 1. 개요 지하연속벽공법은 건축물의 주위에 말뚝구멍 또는 일정 너비의 도랑을 연속적으로 굴삭 하며 그 속에 이수를 채워 흙벽의 붕괴를 방지하며 소정 깊이까지 굴삭이 완료되면 조립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연속적인 지중벽체를 축조하여 흙막이벽 물막이벽 또는 지하 외주 벽체로 이용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1950년경 프리팩트 콘크리트 말뚝의 축조 기술과 소일시멘트말뚝을 만드는 MIP말뚝공법에 의한 벽체가 구축되고 또 굴삭 토사를 모르타르로 바꾸어 넣는 PIP말뚝이 개발되어 말뚝열을 축조하여 흙막이벽을 형성하는 공법이 개발되었다. 이코스공법 기타 각종 굴삭기계의 개발과 신공법의 등장으로 지하공법이 크게 발전되었다. 이 공법은 시가지 공사에서는 소음, 진동 등의 공해문제와 아울러 대형 고층화 또는.. 디지털자산 "NFT"란.. NFT의 정의 오늘은 비트코인의 뒤를 이어 새로운 디지털 자산인 NFT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NFT는 (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블록체인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가상자산을 말합니다. 노래나 영화 그림 등에 저작권이 있는 건 처럼 디지털 상품에 소유권을 부여하여 투자 가치를 증명하는 수단입니다. NFT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따라서 최초 발행자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어 위조 등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기존 암호화폐 등은 가상자산이 발행처에 따라 균등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반면 NFT는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담고 있어 서로 교환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갖고 있.. 2장. 기 초 (흙막이) 1. 개요 기초가 깊거나 또는 토질이 연약하고 지하수가 많이 나올 때에는 터파기의 옆 벽이무너질 우려가 있으므로 그 흙의 휴식각에 맞게 경사지어 파거나 또는 흙막이를 한다. 흙막이는 지질, 기초 깊이, 건축구조에 따라 다르고 특히 지하실 등이 있을 때는 튼튼한 구조로 해야 한다. (1) 간이 흙막이 지질이 비교적 단단하고, 터파기가 얕을 때에는 방축널을 간단히 설치하여 토사의 붕괴를 방지한다. 이 흙막이에는 기초파기 순서에 따라 그 양옆에 널을 띠장과 버팀대로 끼워댄다. 흙막이 널을 대지 않고 넓은 띠장만을 댈 때도 있다. (2) 나무널말뚝 지질이 비교적 연약하고 기초 깊이도 1.5m 정도일 때에는 나무널말뚝을 세로 연접하여 박아댄다. 널말뚝의 옆면은 맞대기, 반턱, 오늬, 제혀물림등으로 한다. 나무널말.. 2장. 기 초 (터파기 · 지하수 처리) 1. 터 다지기 건축공사는 먼저 터를 닦는 일부터 시작한다. 대지 안에 있는 불필요한 암석, 수목 기타 방해물을 옮겨 놓고 나무뿌리, 옛 지중 구조부, 쓰레기, 기타 장애물은 치워버린다. 땅바닥이 높은 곳은 깍아내고 낮은 곳은 돋우어 편평하게 터 고르기를 한다. 땅을 돋을 때나 메울 때는 흙에 잡초나 쓰레기 등이 섞이지 않게 하고, 깊이 30~50cm로 흙을 채울 때마다 적당한 기구로 다진다. 전날에는 터 고르기가 완료되면 건물이 앉을 자리를 원달고 또는 몽둥달고로 온지반을 다졌다. 이것을 터 닦기, 지정다지기, 지경다지기 또는 지반도고라 하였다. 온지면을 다지는 것은 땅바닥은 온돌고래가 축조되고 또한 쥐에는 섬돌을 쌓기 때문이었다. 2. 수평보기 규준틀 (1) 기준점 기준점은 선물의 위치 고저 또는 수..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