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3) 썸네일형 리스트형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보-2) 5. 보의 각부 상세 (1) 보의 단면 • 주근 보의 유효춤은 간사이의 1/15~1/10 정도로, 그 너비는 유효춤의 1/2~2/3 정도로 한다. 철근비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어느 단면에서의 철근 단면적과 부재 단면적과의 비로, 일반적으로 100분율로 나타낸다. (2) 보의 주근 주요한 보는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근하는 복근으로 하고, 단근보라 하여도 늑근지지관계로 축측에 가는 철근을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보의 주근의 지름은 Ø 12mm 이형철근 D13 이상으로 하며 보통 16~25mm로 한다. 그 배치는 특별한 때를 제외하고는 2단 이하로 하고 철근 사이는 2.5cm 이상, 또한 철근지름 1.5배 이상으로 한다. 굵은 주근의 개수를 적게 하면 부착응력도가 부족하게 되며, 이때는 가는 철근으로 바꾸어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보-1) 1. 단순보 단순보는 양단이 벽돌 • 블록 • 석조벽 등에 단순히 얹혀 있는 상태로 된 보이다.(아래 그림의 a) 보의 하부에는 인장력이 생겨 균열되므로 재의 축방향으로 철근을 넣어 보강하고 도 전단력에 의한 빗인장력 때문에 보에 빗금이 가게 되므로 이에 대한 보강근을 U자형 또는 ㅁ자형으로 배치한다. 인장력에 대항하는 재축방향의 철근을 보의 주근이라 하고, 인장측에만 철근을 넣은 홑근보라 하며, 중요한 보로서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근한 것을 복근보라 한다. 단순보의 인장력은 보의 중앙부에서 최대로 되고, 단부로 갈수록 적어지므로 단부의 하부철근은 많이 필요한 것은 아니니까 그 일부는 굽혀 올릴 수가 있다. 이 철근을 굽힌철근이라 하고, 하부직선근 중에서 중간철근만을 굽힌철근으로 할 때가 많다. 전단력을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구조계획-3) 4. 각부 계획 (1) 간사이 및 층높이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은 라멘구조로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라멘을 구성하는 보나 기둥의 키기를 목조건축과 같이 관습적으로 어느 정도면 된다고 정할 수는 없다.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뼈대는 보방향과 도리방향의 라멘이 서로 교차되어 입체적으로 구성되고, 그 간격은 보통 4~7m 정도이고, 따라서 1개의 기둥이 부담하는 바닥판의 하중의 분담면적은 아래 그림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또한 l𝓍:l𝓎=1:1~1:2 하는 것이 유리하고 한 편을 9~10m로 크게 해야 할 때는 다른 편은 3~3.5m로 작게 하여 큰 간사이의 불리한 점을 보완하도록 한다. 그러나 고강도의 철근 또는 콘크리트를 사용한다면 면적을 40m² 이상이라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층높이는 1층에서 3.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