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보의 각부 상세
(1) 보의 단면 • 주근
보의 유효춤은 간사이의 1/15~1/10 정도로, 그 너비는 유효춤의 1/2~2/3 정도로 한다. 철근비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어느 단면에서의 철근 단면적과 부재 단면적과의 비로, 일반적으로 100분율로 나타낸다.
(2) 보의 주근
주요한 보는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근하는 복근으로 하고, 단근보라 하여도 늑근지지관계로 축측에 가는 철근을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보의 주근의 지름은 Ø 12mm 이형철근 D13 이상으로 하며 보통 16~25mm로 한다. 그 배치는 특별한 때를 제외하고는 2단 이하로 하고 철근 사이는 2.5cm 이상, 또한 철근지름 1.5배 이상으로 한다. 굵은 주근의 개수를 적게 하면 부착응력도가 부족하게 되며, 이때는 가는 철근으로 바꾸어 여러 개를 쓰거나 단면을 변경한다. 인장철근비는 평형철근비 이하로 한다. 이것은 0.25~1.00%의 범위이지만 T형보를 제외하고는 0.25% 정도가 가장 좋다. 또 복근보에서 인장과 압축철근단면적의 비는 0.5% 내외이다. 다만, 경량철근콘크리트보의 압축철근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3) 굽힌철근 • 보조근
굽힌철근은 전단력의 보강으로 대단히 유효하지만 늑근과 병용할 때에만 효과가 있다. 이것은 또 응력에 따라 상하주근의 수량을 변화시키고, 상하주근의 간격을 유지하며, 늑근을 결속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굽힌철근과 재축과의 각도는 30~45도로 한다. 보의 단부 밑면은 일반적으로 압축축이므로 그 주근은 단면보강으로 둔 헌치에 따라 구부려 기둥 속 깊이 정착한다. 그러나 지진 등의 효력 때문에 인장이 되는 일이 있어 주근은 직선으로 통하고, 따로 빗철 넣어 상하에 연장하는 것도 안전하다. 보의 단면의 춤이 60cm 이상일 때는 늑근의 옆휨을 고려하여 상하주근의 중간에 보조근을 넣는다. 주근의 이음은 중앙에서는 상부(A부)에, 단부에서는 하부(B부)에 두고, 굽힌근은 C부에 두는 것이 좋다.
(4) 늑근
굽힌철근의 유무에 따라 관계없이 전단력이 분포에 따라 배치한다. 이것은 계산상 필요 없을 때라도 사용하고, 그 최대간격은 보의 춤이 2/3~3/4으로 한다.
'건축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바닥판 • 계단-1) (4) | 2023.01.20 |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기둥) (1) | 2023.01.13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보-1) (0) | 2023.01.07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구조계획-3) (2) | 2023.01.01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구조계획-2) (1) | 202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