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근콘크리트구조

(10)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흙막이벽 • 굴뚝 • 이음새 - 1) 1. 흙막이벽 흙막이벽은 옹벽이라고도 하며, 석조 • 무근콘크리트조로 하는 중력식옹벽과 철근콘크리트조로 하는 T자형옹벽과 부축벽옹벽이 있다. 중력식은 높이 3M 내외의 낮은 옹벽에 T자형은 5m 내외의 높지 않은 것에, 부축벽은 6m 이상 상당히 높은 흙막이벽에 쓰인다. 수평방향으로 토압을 받는 벽이 안전하기 위하여서는 다음의 조건이 맞아야 한다. 1) 전도 2) 활동 3) 단면파괴 4) 침하 전도에 대하여서는 다음 그림에서 옹벽의 무게 W와 P의 합력 R이 옹벽의 저면 내에 있어야 한다. 또 B점에 인장력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R이 저면너비 AB의 1/3 이내에 있는 것이 좋다. 활동에 대하여서는 옹벽과 바닥판 위에 있는 흙의 중량의 합계 W에 마찰계수 u를 곱한 것이 토압의 합계 P보다 크면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기 초) 1. 개 요 철근콘크리트 기초는 독립기초, 복합기초, 연속기초, 온통기초 등이 있다. 말뚝 등을 박지 않고 벽 • 기둥의 밑둥을 넓게 하여 터파기 지면에 직접 설치한 기초를 직접기초라 한다. 2. 독립기초 독립기초는 기둥을 단독으로 지지하는 기초이고, 그리고 보통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하나의 말뚝을 쓸 때는 그 배치에 따라 6각형, 8각형 등으로도 한다. 기초바닥판 배근은 새로 • 가로로 배치하고 대각선방향으로도 2~3개를 배치한다. 큰 기초에서는 상부 주위에도 보조근을 배치한다. 기초의 상면은 경사면, 층단형, 또는 수평면으로 한다. 독립기초에는 기초보를 두어 기둥의 부동침하 또는 이동을 방지한다. 또 주각에서 전달되는 휨모멘트를 받고, 라멘 계산에 있어 주각고정이라는 조건 등에 의해 계산상의 단면보..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벽체) 1. 개 요 철근콘크리트구조 벽체는 지하실벽, 계단실, 승강기실 등의 건물 코어 등의 주변벽에 주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지하실벽은 상하부에서는 바닥보에 연결되고, 기둥이 있을 때는 사방이 고정지지된다. 지하실벽의 하중은 축방향력과 휨모멘트, 그리고 토암에 의한 휨을 받는다. 벽체에서는 내력벽과 비내력벽이 있고, 간막이벽 또는 장막벽 또는 커튼월 등은 보통 비내력벽이다. 기둥을 정방향 단면으로 하지 않고 벽처럼 얇고, 너비가 큰 단면으로 할 때가 있다. 이 기둥을 벽기둥이라 하며 이것은 기둥이 벽면에서 내민 것을 피하기 위하여 쓰일 때가 있다. 이 벽체는 라멘체가 되는 것이다. 이것을 벽식구조 또는 벽식철근콘크리트구조라 한다. 벽식구조는 보 • 기둥 등을 주체로 하는 뻐대구조에 대하여 벽체나 바닥판 등의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바닥판 • 계단-2) 3. 장선바닥판 구조 (1) 개요 등간격 평행으로 배치된 바닥장선의 양단은 보에 걸쳐 지지되고, 바닥판과 일체로 구성한 것을 콘크리트장선구조라 한다. 바닥판은 장선과 장선에 지지되고, 그 두께는 상당히 얇게 할 수 있다. 장선이 일방향 평행으로 배치된 것을 1방향 장선구조라 하고 격자형으로 서로 직교하는 장선으로 바닥판을 지지하는 것을 2방향 장선구조라 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거푸집에 주름바은 골판을 써서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을 형성하는 것도 있다. 이것은 콘크리트가 완성된 다음에도 제거하지 않으므로 영구거푸집이라고도 한다. 리브철판은 지붕을 덮는 데 쓰이기도 하는데 이것을 데크철판이라 한다. 또 한 방법으로는 기성콘크리트 바닥판을 보에 걸쳐대는 방법도 있고 또 장선도 기성콘크리트재를 쓰는 경우도 있..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보-2) 5. 보의 각부 상세 (1) 보의 단면 • 주근 보의 유효춤은 간사이의 1/15~1/10 정도로, 그 너비는 유효춤의 1/2~2/3 정도로 한다. 철근비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어느 단면에서의 철근 단면적과 부재 단면적과의 비로, 일반적으로 100분율로 나타낸다. (2) 보의 주근 주요한 보는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근하는 복근으로 하고, 단근보라 하여도 늑근지지관계로 축측에 가는 철근을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보의 주근의 지름은 Ø 12mm 이형철근 D13 이상으로 하며 보통 16~25mm로 한다. 그 배치는 특별한 때를 제외하고는 2단 이하로 하고 철근 사이는 2.5cm 이상, 또한 철근지름 1.5배 이상으로 한다. 굵은 주근의 개수를 적게 하면 부착응력도가 부족하게 되며, 이때는 가는 철근으로 바꾸어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보-1) 1. 단순보 단순보는 양단이 벽돌 • 블록 • 석조벽 등에 단순히 얹혀 있는 상태로 된 보이다.(아래 그림의 a) 보의 하부에는 인장력이 생겨 균열되므로 재의 축방향으로 철근을 넣어 보강하고 도 전단력에 의한 빗인장력 때문에 보에 빗금이 가게 되므로 이에 대한 보강근을 U자형 또는 ㅁ자형으로 배치한다. 인장력에 대항하는 재축방향의 철근을 보의 주근이라 하고, 인장측에만 철근을 넣은 홑근보라 하며, 중요한 보로서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근한 것을 복근보라 한다. 단순보의 인장력은 보의 중앙부에서 최대로 되고, 단부로 갈수록 적어지므로 단부의 하부철근은 많이 필요한 것은 아니니까 그 일부는 굽혀 올릴 수가 있다. 이 철근을 굽힌철근이라 하고, 하부직선근 중에서 중간철근만을 굽힌철근으로 할 때가 많다. 전단력을 ..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구조계획-3) 4. 각부 계획 (1) 간사이 및 층높이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은 라멘구조로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라멘을 구성하는 보나 기둥의 키기를 목조건축과 같이 관습적으로 어느 정도면 된다고 정할 수는 없다.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뼈대는 보방향과 도리방향의 라멘이 서로 교차되어 입체적으로 구성되고, 그 간격은 보통 4~7m 정도이고, 따라서 1개의 기둥이 부담하는 바닥판의 하중의 분담면적은 아래 그림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또한 l𝓍:l𝓎=1:1~1:2 하는 것이 유리하고 한 편을 9~10m로 크게 해야 할 때는 다른 편은 3~3.5m로 작게 하여 큰 간사이의 불리한 점을 보완하도록 한다. 그러나 고강도의 철근 또는 콘크리트를 사용한다면 면적을 40m² 이상이라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층높이는 1층에서 3.5~..
6장.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근-2) 4. 철근의 이음 (1) 개 요 철근의 이음은 부착력에 의한 겹친 이음 외에 용접이음 또는 연결재를 사용한 기계적 이음이 있다. 가스압접이나 전기압접에 의 하여 철근을 이으면 용접부가 두드러져 단면이 크게 되어 충분히 신뢰할 수 있으며 철근량도 절약되고, 콘크리트 부어넣기도 용이하여 유리하다. 철근의 이음위치는 큰 인장력이 생기는 곳을 피하고 경미한 인장력 또는 압축측에 두는 것이 원칙이다. 이음의 응력도는 규정된 용접 • 부착응력도의 3/4을 초과하지 않고 한 철근의 전응력을 다른 철근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 (2) 겹친이음 철근을 나란하게 옆대어 이어나가는 것을 겹친이음이라 하고, 그 끝은 갈고리를 내고 겹친 부분을 결속선을 묶는다. 겹친 길이, 즉 이음길이는 콘크리트의 강도, 철근의 굵기와 강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