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개론 (61) 썸네일형 리스트형 3장. 벽돌 구조 (아치) 1. 아치 창문 등의 문꼴 위에는 상부에서 오는 짐을 받게 하기 위하여 아치를 틀거나 인방보를 걸고 그 위에 벽돌벽을 쌓는다. 아치의 모양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흔히 쓰이는 것은 평아치, 반원아치, 결원아치 등이다. 또 구조상 용도상 빗아치, 짐받이아치, 거꾸로아치 등이 있다. 아치의 이론은 매우 복잡하지만 간단히 말하면 상부에서 오는 수직 압력이 아치의 축선에 따라 좌우로 나누어져 밑으로 직압력만으로 전달되게 한 것이고 부재의 하부에 인장력이 생기지 않게 구조한 것이다. 따라서 벽돌은 이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줄눈을 맞추어 쌓아야 하고, 주요한 줄눈의 방향은 모두 그 중심에 모이게 한다. 2. 아치틀기 아치벽돌을 특별히 주문 제작하여 쓴 것을 본아치라 하고 보통 벽돌을 쐐기 모양으로 다듬어 쓴 것을.. 3장. 벽돌 구조 (벽돌쌓기법) 2. 벽돌기둥 쌓기 벽돌로 독립기둥 붙임기둥 부축벽 또는 창 사이의 좁은 벽 등을 쌓을 때에는 벽돌나누기는 물론, 모르타르 배합도 좋게 하고 수직으로 정확히 쌓아 올려야 한다. 붙임기둥 부축벽은 길고 높은 벽돌벽체를 보강하기 위하여 벽돌벽에 붙여 만든기둥 또는 벽으로서, 구조성으로 볼 때에는 같으나 의장상으로 기둥모양으로 보이는 것을 붙임기둥 벽처럼 보이는 것을 부축벽이라 한다. 독립기둥 붙임기둥 부축벽은 지붕틀 층보, 기타 집중하중을 받게 되므로 그 두께는 1.5B 이상으로 하고 횡력 또는 충격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것은 충분히 대항할 수 있도록 보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독립기둥은 보통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조로 하고 가장자리를 벽돌로 쌓는다. 3. 기초쌓기와 내쌓기 (1) 기초 쌓기 벽돌벽체의 .. 3장. 벽돌 구조 (벽돌마름질 및 벽돌나누기, 벽돌쌓기법) 1. 벽돌마름질 벽돌은 온장을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깨뜨려 쓰기도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을 벽돌마름질이라 하고 그 종류는 그림과 같다. 이오토막과 반반절은 거의 같은 크기가 된다. 이오 칠오는 0.25토막 0.75토막에서 나온 말이다. 2. 줄눈 벽돌과 벽돌 사이의 모르타르 부분을 줄눈이라 하며, 수평의 것을 가로줄눈 수직의 것을 세로줄눈이라 한다. 벽돌벽에 실린 하중이 골고루 너리 퍼져 전달되게 하려면 세로줄눈의 아래 윙가 중요하다. 이와 같이 세로줄눈의 아래 위가 막힌 것을 막힌줄눈이라 하고 통한 것은 통줄눈이라고 한다. 통줄눈으로 된 부분은 약하게 되고 위에서 오는 하중을 평균하게 밑으로 전달시킬수가 없을뿐더러 지중에서 습기가 스며들기 쉬우므로 되도록 통줄눈이 생기지 않도록 쌓아야 한.. 2장. 기 초 (지하연속벽공법 · 역구축공법) 4. 슬러리월 공법 슬러리는 진흙, 시멘트 기타 물에 불용성의 물질과 물이 혼합하여 이룬 것을 말하며, 진탕 시멘트죽도 슬러라 하지만 여기서는 경화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이수공법이라고도 한다. 말뚝구멍 또는 대구경제자리말뚝의 굴삭부에 비중이 큰 점액을 채워서 굴삭 벽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방법이다. 주로 벤토나이트 미분말의 용액으로 쓰이며 이수공법 또는 안정액공법이라고도 한다. 이수의 성질은 용액의 안전성 적당한 비중과 점성 강인한 이막형성성이라 한다. 이수를 안정액이라고도 한다. (1) 안정제 물질이 화학적 물리적 성질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화학약품을 말하고, 기초공사시 토양의 콜로이드성을 안정시키는 것으로 내수성, 조해성 등이 있는 물질이 필요하고 시멘트, 석회 등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2장. 기 초 (흙막이) 1. 개요 기초가 깊거나 또는 토질이 연약하고 지하수가 많이 나올 때에는 터파기의 옆 벽이무너질 우려가 있으므로 그 흙의 휴식각에 맞게 경사지어 파거나 또는 흙막이를 한다. 흙막이는 지질, 기초 깊이, 건축구조에 따라 다르고 특히 지하실 등이 있을 때는 튼튼한 구조로 해야 한다. (1) 간이 흙막이 지질이 비교적 단단하고, 터파기가 얕을 때에는 방축널을 간단히 설치하여 토사의 붕괴를 방지한다. 이 흙막이에는 기초파기 순서에 따라 그 양옆에 널을 띠장과 버팀대로 끼워댄다. 흙막이 널을 대지 않고 넓은 띠장만을 댈 때도 있다. (2) 나무널말뚝 지질이 비교적 연약하고 기초 깊이도 1.5m 정도일 때에는 나무널말뚝을 세로 연접하여 박아댄다. 널말뚝의 옆면은 맞대기, 반턱, 오늬, 제혀물림등으로 한다. 나무널말.. 2장. 기 초 (터파기 · 지하수 처리) 1. 터 다지기 건축공사는 먼저 터를 닦는 일부터 시작한다. 대지 안에 있는 불필요한 암석, 수목 기타 방해물을 옮겨 놓고 나무뿌리, 옛 지중 구조부, 쓰레기, 기타 장애물은 치워버린다. 땅바닥이 높은 곳은 깍아내고 낮은 곳은 돋우어 편평하게 터 고르기를 한다. 땅을 돋을 때나 메울 때는 흙에 잡초나 쓰레기 등이 섞이지 않게 하고, 깊이 30~50cm로 흙을 채울 때마다 적당한 기구로 다진다. 전날에는 터 고르기가 완료되면 건물이 앉을 자리를 원달고 또는 몽둥달고로 온지반을 다졌다. 이것을 터 닦기, 지정다지기, 지경다지기 또는 지반도고라 하였다. 온지면을 다지는 것은 땅바닥은 온돌고래가 축조되고 또한 쥐에는 섬돌을 쌓기 때문이었다. 2. 수평보기 규준틀 (1) 기준점 기준점은 선물의 위치 고저 또는 수.. 2장. 기 초 (말뚝기초 1-4) 11. 대구경 제자리말뚝 대구경 굴삭기로 지반에 큰 지름의 성을 파고 여기에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서 기초말뚝을 축조하는 제자리붓기말뚝을 말한다. 여기에 쓰이는 굴삭기를 총칭하여 대구경 제자리 말뚝 굴삭기라 한다. 이것은 소음진동에 대한 도시 공해문제와 공사의 대형화에 따른 큰 지지력이 요구되는 기초말뚝의 필요에서 개발된 것이다. 각종 기종이 있으나 그중 대표적인 것은 리버스기, 베노토기, 어드드릴 등이 있다. (1) 역순환 삭공공법 이것은 독일의 자르쯔깃터사가 고안한 리버스큘레이션드릴이라는 기계로 대구경 제자리말뚝 구멍을 굴삭하는 공법으로 역순환삭공공법 또는 리버스서큘레이션공법이라 한다. 축대의 선단에 설치한 드릴비트를 로터리 테이블에서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굴삭한다. 굴삭토사는 축대 .. 2장. 기 초 (말뚝기초 1-3) 9. 제자리 붓기 말뚝 제자리붓기콘크리트말뚝은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이라고도 하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지중에 뚫은 구멍 속에 현장에서 철근과 콘크리트를 채워서 철근콘크리트말뚝을 조성하는 공법이다. 구멍을 뚫는 방법과 구멍의 형상 사용삭공기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가 있다. 재래로 철관을 타격 또는 진동시켜 박아 넣고, 그 속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채우면서 관은 빼내어 말뚝을 만드는 공법과 말뚝구멍을 먼저 굴학하고 조립철근 삽입 및 콘크리트 채워 다지기를 하여 말뚝을 형성하는 공법이 쓰인다. 지름 60cm 이하의 말뚝을 소구경말뚝이라 하고, 지름 80cm 이상의 말뚝을 대구경말뚝이라 하며, 이와 같이 단면이 큰 말뚝을 피어, 또는 피어기초라 한다. 대구경말뚝은 주로 기계굴삭에 의하여 지름 1.5~3.0.. 이전 1 ···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