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적구조 (7) 썸네일형 리스트형 1장. 총 론 (건축구조의 분류 1-1) 건축구조의 분류 1. 건축구조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목조, 조적조,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등으로 대별하고 있지만, 이것은 그 주요 구조부의 축조 재료로써 분류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 건축물은 그 주요부의 재료가 전부 통일되는 것이 아니므로 건축구조는 보는 견지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도 있다. (1) 구조 건축물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중, 외력에 저항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기둥, 보, 벽 등을 지칭하며 뼈대와 동의로 쓰이기도 한다. (2) 구법 건물의 구성 방법, 곧 재료 및 부품을 조립하여 건물을 꾸미는 방법을 구법이라 한다. 보통 일반건축구조 또는 건축 구조법이란 말을 간략히 줄이고 주구조체와 마무리 치장 상호관계를 동시에 다룬다는 뜻이 내포된 것이다. (3) 공법 건물.. 4장. 블록 구조 (블록 쌓기) 1. 개 설 블록은 반입 직후 불합격품을 선별하여 공사장 외로 반출한다. 블록 쌓기에 쓰이는 모르타르의 용적배합비는 보통 1:3으로 하고 1:5 이하로는 되지 않도록 한다. 모르타르의 강도는 블록강도의 1.3배 시공묽기는 플로우 테스트 140~150이 이상적이고 물의 중량은 시멘트 중량의 60~70% 모래의 지름은 1.2mm 정도가 좋다 모르타르에 석회를 약간 혼입하면 수분 유지가 되고 끈기가 있게 된다. 블록의 모르타르 접합부만은 쌓기 전에 적당히 물을 주어 습윤케 하는 것이 좋다. 블록은 지나치게 물로 축이면 팽창 수축으로 균열이 생기게 되면 축이지 아니하면 모르타르의 경화에 지장이 있다. 블록구조 건물의 각 부분의 치수는 기본블록의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줄눈은 가로 세로 6~12mm 정도로 하되 보.. 4장. 블록 구조 (개 론) 1. 블록 구조의 분류 블록 구조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블록을 만들어 벽돌과 같은 방법으로 쌓아 올려 벽체를 구성하는 조적식 구조법의 하나이다. 블록 구조도 오래전부터 간단한 구조물에 이용되었지만 근래에 와서는 철근콘크리트로 보강하여 주택 저장고 공장 기타 벽체가 많은 건물에 널리 쓰이게 되었다. 구미 각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되어 조직적인 이론과 실제 실험 검토도 완성되어 상당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블록건물의 특징은 건물의 대량생산 경량 불연 구조로서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단축 경비절약 등의 장점이 있고 목재의 절약에도 큰 성과가 있는 것이다. 시멘트 블록을 이용한 구조에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구조 및 시공방법은 거의 동일하고 다만 블록의 처리 보강법이 다를 뿐이다. (1) .. part. 24 벽돌구조 (바닥틀 지붕틀 걸기, 벽돌벽 두께) 바닥틀 지붕틀 걸기 1. 개요 벽돌조 건물은 먼저 벽체를 쌓고 여기에 목조 마루 또는 지붕틀을 올려놓게 된다. 또 벽돌벽체를 보강하는 철근콘크리트바닥판으로 할 때도 있다. 목조 바닥틀 지붕틀의 구조법은 일반나무구조와 같으나, 바닥틀 지붕틀 등은 창문 등의 문꼴위를 피하고 튼튼한 벽 위에 상하가 수직선상에 오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2. 1층마루 2층마루 1층마루에서는 멍에 장선 등을 놓기 위하여 벽돌벽 내쌓기를 하고 장선받이를 댄다. 2층 마루에서는 보를 걸기 위하여 벽 위에 보받침 등을 놓고 그 위에 올려놓는다. 보주위는 통기와 진동에 대한 여유를 두어 다소 빈틈을 남겨둘 필요가 있고 위치 고정으로 보에 띠쇠를 대어 한 끝을 구부려 보받이돌에 파 넣어 간사이 방향의 이동을 방지한다. 3. 지붕틀 벽체.. 3장. 벽돌 구조 (벽돌쌓기법) 2. 벽돌기둥 쌓기 벽돌로 독립기둥 붙임기둥 부축벽 또는 창 사이의 좁은 벽 등을 쌓을 때에는 벽돌나누기는 물론, 모르타르 배합도 좋게 하고 수직으로 정확히 쌓아 올려야 한다. 붙임기둥 부축벽은 길고 높은 벽돌벽체를 보강하기 위하여 벽돌벽에 붙여 만든기둥 또는 벽으로서, 구조성으로 볼 때에는 같으나 의장상으로 기둥모양으로 보이는 것을 붙임기둥 벽처럼 보이는 것을 부축벽이라 한다. 독립기둥 붙임기둥 부축벽은 지붕틀 층보, 기타 집중하중을 받게 되므로 그 두께는 1.5B 이상으로 하고 횡력 또는 충격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것은 충분히 대항할 수 있도록 보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독립기둥은 보통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조로 하고 가장자리를 벽돌로 쌓는다. 3. 기초쌓기와 내쌓기 (1) 기초 쌓기 벽돌벽체의 .. 3장. 벽돌 구조 (벽돌마름질 및 벽돌나누기, 벽돌쌓기법) 1. 벽돌마름질 벽돌은 온장을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깨뜨려 쓰기도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을 벽돌마름질이라 하고 그 종류는 그림과 같다. 이오토막과 반반절은 거의 같은 크기가 된다. 이오 칠오는 0.25토막 0.75토막에서 나온 말이다. 2. 줄눈 벽돌과 벽돌 사이의 모르타르 부분을 줄눈이라 하며, 수평의 것을 가로줄눈 수직의 것을 세로줄눈이라 한다. 벽돌벽에 실린 하중이 골고루 너리 퍼져 전달되게 하려면 세로줄눈의 아래 윙가 중요하다. 이와 같이 세로줄눈의 아래 위가 막힌 것을 막힌줄눈이라 하고 통한 것은 통줄눈이라고 한다. 통줄눈으로 된 부분은 약하게 되고 위에서 오는 하중을 평균하게 밑으로 전달시킬수가 없을뿐더러 지중에서 습기가 스며들기 쉬우므로 되도록 통줄눈이 생기지 않도록 쌓아야 한.. PART 20. 벽돌 구조 (개론) 1. 일반 사항 벽돌구조는 건물의 벽체, 기초 등을 벽돌과 모르타르로 쌓아 만든 것으로 블록 구조, 돌 구조 등과 같이 조적 구조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지붕틀, 층보, 마룻바닥, 전장, 창문틀 등은 목조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조로 한다. 이벽돌구조법은 실용상 미관성으로 블록 석재 타일 등을 섞어 쓰기도 하고 담장, 굴뚝, 기타 여러 구조물을 축조하는 데 널리 이용된다. 벽돌구조 건물은 나무 구조 건물에 비하여 벽두께가 커지므로 실내면적이 상당히 줄어들게 되고 건물의 무게가 크고 건축공사비도 다소 더 들지만 내화 내구적이고 튼튼할 뿐 아니라 외관이 장중 미려하고 구조 시공법이 간단하므로 다른 주고 건축으로는 이룰 수 없는 장점이 있다. 벽돌은 고대로부터 '전'이라고 하여 널리 쓰였고 궁전 불사 탑비 등.. 이전 1 다음